김세곤 역사 칼럼니스트/ `임진왜란과 호남사람들' 저자

“사또, 만약 누가 옆에서 나랏님을 배반하라 하면 어찌하시겠습니까? 한 사람과의 약속인 정절(貞節)을 지키겠다는데 왜 자꾸 나보고 배신하라고 하십니까?.”

탐관오리의 대명사인 변학도는 남원부사로 부임하자마자 춘향을 품에 안고자 한다. 춘향은 단호하게 호색한 변학도의 수청을 거부한다.

변학도는 온갖 방법으로 춘향을 회유했으나 이것이 안 먹히자 폭력을 쓴다.

“여봐라, 이 년을 매우 쳐라.”

곤장 한 대를 맞은 춘향은 “일편단심으로 일부종사하겠소”라고 대꾸한다.

2대를 맞자 “불경이부(不更二夫)가 내 마음. 이 매 맞고 죽어도 이 도령은 못 잊겠소” 한다.

변사또는 더 세게 치라고 한다.

4대를 맞자 춘향은 “사또님은 사민공사(四民公事) 하지 않고 위력공사(威力公事) 힘을 쓰니, 남원 백성 원망함을 모르시오”라고 항의한다.

춘향의 대꾸는 개인적 수절에서 사회적 저항으로 번지고 있다.

화난 변학도는 계속 치라고 한다.

8대를 맞자 “팔자 좋은 춘향 몸이 수령 중에 제일 명관 만났구려. 팔도방백 수령님네 치민(治民)하려 내려왔지 악형하려 내려왔소”라고 저항한다.

이후 변학도는 춘향에게 무려 25대를 때린다. 이것을 지켜본 남원 백성들은 변사또가 너무 한다고 수군거렸다.

반생반사(半生半死)한 춘향은 절규한다. “여보, 사또 들으시오. 계집의 곡(曲)한 마음 오뉴월에 서리치요. 어서 죽여주오. 혼비중천 다니다가 임금님 앞에 나타나서 이 원통함을 알리면 사또인들 무사할까?.”

변사또는 크게 당황해한다.

“여봐라 이 년을 큰 칼 씌워 하옥하라.”

차디찬 감옥. 목에 칼이 씌워진 춘향. 그녀는 망부가(望夫歌)를 부른다. ‘쑥대머리’다.

쑥대머리 귀신형용

적막 옥방 찬 자리에

생각난 것은 임뿐이라.

보고지고 보고지고

보고지고 쑥대머리

한편 이 도령은 암행어사가 돼 남원으로 내려온다.

그는 나무 그늘 밑에서 농부들과 막걸리 한잔하며 민심을 파악한다.

한 농부가 세상을 비꼰다.

원님은 노망이요 아전은 주망(酒妄)

죄인은 도망(逃亡)이고 백성은 원망(怨望)이라

옆에 있던 농부가 대꾸한다. “그래서 우리는 다 사망(死亡)이지 뭐.”

이 말에는 “썩어 문드러진 세상. 차라리 망해 버려라”는 원망이 들어있다.

한편 춘향 모(母) 월매는 옥에 갇힌 춘향에게 현실과 타협하라고 한다. 그러나 춘향은 단호히 거부한다. 죽더라도 수절하겠다는 것이다.

변 사또의 생일잔치가 무르익었을 때 어사 이 도령은 시 한 수로 탐관오리들의 가렴주구를 꾸짖는다.

금준미주(金樽美酒)는 천인혈(千人血)이요

옥반가효(玉盤佳餚)는 만성고(萬姓膏)라

촉루락시(燭淚落時)에 민루락(民淚落)이고

가성고처(歌聲高處)에 원성고(怨聲高)라

금 술잔의 좋은 술은 천 사람의 피요

옥 소반의 좋은 안주는 만백성의 기름이라.

촛불 눈물 떨어질 때 백성 눈물 떨어지고

노랫소리 높은 곳에 원망 소리 높구나.

암행어사 출두(出頭)요! 출두요! 탐관오리들은 혼비백산했고 변학도는 파직됐으며, 춘향은 이 도령의 정부인(貞夫人)이 됐다.

‘춘향전’은 작가와 연대가 미상인 소설이다. 영조와 순조 사이의 작품으로 추측할 따름이다. 춘향전은 부패하고 탐학한 남원부사 변학도에 맞선 춘향의 수절 이야기이다.

이 소설은 판소리 ‘춘향가’로 더 많이 알려졌는데 관객들은 춘향의 절개에 눈물 흘리고 암행어사 이몽룡의 부패척결에 환호한다.

한편 ‘춘향가’는 1894년 동학농민혁명 때 농민군의 진군가였다.

탐관오리 응징의 노래였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