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점자 (제공:문화재청) ⓒ천지일보 2020.10.15
한글점자 (제공:문화재청) ⓒ천지일보 2020.10.15

[천지일보=장수경 기자] 우리나라 최초의 6점식 점자인 ‘한글점자 훈맹정음 제작 및 보급 유물’ 등이 문화재로 등록 예고됐다.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10월 15일 ‘흰 지팡이의 날’을 맞아 ‘한글점자 훈맹정음 제작 및 보급 유물’ ‘한글점자 훈맹정음 점자표 및 해설 원고’ 등 2건을 문화재로 등록 예고했다고 밝혔다.

‘훈맹정음’은 박두성(朴斗星, 1888~1963)이 1926년 11월 4일에 반포한 우리나라 최초의 6점식 점자로, 일제강점기 시대 시각장애인들이 한글과 같은 원리를 통해 글자를 익히도록 한 고유 문자체계이다.

맹사일지 (제공:문화재청) ⓒ천지일보 2020.10.15
맹사일지 (제공:문화재청) ⓒ천지일보 2020.10.15

이번에 등록 예고되는 ‘한글점자 훈맹정음제작 및 보급 유물’은 ‘훈맹정음’의 사용법에 대한 원고, 제작과정을 기록한 일지, 제판기, 점자인쇄기(로울러), 점자타자기 등 한글점자의 제작·보급을 위한 기록, 기구 등 8건 48점으로, 당시의 사회·문화 상황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근대 시각장애인사를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문화재 등록 가치가 높다.

‘한글점자 훈맹정음 점자표 및 해설 원고’는 ‘한글점자’ 육필 원고본, ‘한글점자의 유래’ 초고본 등 한글점자의 유래, 작성원리, 그 구조와 체계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유물이다. 훈맹정음이 창안되어 실제로 사용되기 이전까지의 과정을 통해 당시 시각장애인들이 한글을 익히게 되는 역사를 보여주고 있어 문화재 등록 가치가 크다. 해당 유물은 7건 14점이다.

점자인쇄기–로울러 (제공:문화재청ⓒ천지일보 2020.10.15
점자인쇄기–로울러 (제공:문화재청ⓒ천지일보 2020.10.15

한글점자 ‘훈맹정음’ 관련 유물 2건은 한글점자 창제 당시의 시대상, 역사성을 되짚어보고 우리말의 소중함을 다시금 일깨워주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우리 근현대 문화자산의 다양성과 외연을 넓히고 사회적 가치를 부각하였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크다.

해당 유물은 30일간의 예고 기간을 거쳐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문화재로 최종 등록될 예정이다.

국가등록문화재 제795호 '동해 북평성당'(제공:문화재청) ⓒ천지일보 2020.10.15
국가등록문화재 제795호 '동해 북평성당'(제공:문화재청) ⓒ천지일보 2020.10.15

◆‘동해 북평성당’ 등 12건 문화재 새 등록

또한 ‘이긍연 을미의병 일기’ ‘대한제국애국가’ ‘동해 북평성당’ 3건과 대한제국 군복 ‘전(傳) 대원수 상복’ 등 9건을 포함한 총 12건을 문화재로 등록했다.

국가등록문화재 제795호가 된 ‘동해 북평성당’은 1959년 건립한 시멘트 블럭 건물로 6.25전쟁 이후 시대적 배경 속에서의 건축적 상황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사례로, 성당 본당으로서의 건축적 양식과 구조적 특징이 비교적 잘 반영되어 있고, 원형보존 상태가 양호하여 강원 영동지역에서 갖는 천주교사적 의미와 함께 국가등록문화재로서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국가등록문화재 제796호 ‘이긍연 을미의병 일기’는 안동의병 중 한사람이었던 이긍연(李兢淵, 1847∼1925)이 을미사변 이후인 1895년 12월 1일부터 1896년 10월 11일까지 직접 보고들은 내용을 사실적으로 기록한 것으로, 의병 군진의 결성부터 투쟁활동, 해산까지의 과정과 군사력 등 의병활동 당시의 실상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대한제국애국가 (제공:문화재청) ⓒ천지일보 2020.10.15
대한제국애국가 (제공:문화재청) ⓒ천지일보 2020.10.15

국가등록문화재 제797호 ‘대한제국애국가’는 대한제국 시기 애국가 제정의 필요성에 의해 군악대 지휘자로 초빙돼 온 독일 음악가 프란츠 폰 에케르트(Franz von Eckert, 1852~1916)가 작곡한 것을 1902년 발행한 것으로, 관악합주용 총보와 한글와 독일어로 번역한 가사가 실려 있으며, 제작 경위를 밝히는 민영환(閔泳煥, 1861~1905)의 서문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해당 유물은 제국주의 열강들의 경쟁 속에서 대한제국의 위상을 높이고, 나라의 주권을 지키려는 전기를 마련하고자 했던 외교 노력을 담고 있어 귀중한 가치를 지닌다.

또한 대한제국 군복 ‘전(傳)대원수 상복’ ‘참장 예복’ ‘보병 부령 상복’ ‘보병 정위 예복’ 등은 대한제국 시기 제작된 근대 서양식 군복 유물이다. 대원수가 착용했을 것으로 전해지는 상복부터 장관급인 참장, 영관급인 부령, 위관급인 부위·정위의 예복과 상복 등 병과별 다양한 양식과 더불어, 상의의 의령장(衣領章), 수장(袖章)의 줄 개수, 다른 색 천 부착 등 계급 구별 방법 또한 잘 보여주고 있다. 이번 등록되는 대한제국 군복 9건은 기 등록문화재 제543호 ‘이도재 예복(2013.8.27.)’과 더불어 다양한 대한제국 육군의 군복 양상을 볼 수 있어 그 가치가 크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