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 2020.10.4
ⓒ천지일보 2020.10.4
ⓒ천지일보 2020.10.4
ⓒ천지일보 2020.10.4
ⓒ천지일보 2020.10.4
ⓒ천지일보 2020.10.4
ⓒ천지일보 2020.10.4
ⓒ천지일보 2020.10.4
ⓒ천지일보 2020.10.4
ⓒ천지일보 2020.10.4
ⓒ천지일보 2020.10.4
ⓒ천지일보 2020.10.4
ⓒ천지일보 2020.10.4
ⓒ천지일보 2020.10.4
ⓒ천지일보 2020.10.4
ⓒ천지일보 2020.10.4
ⓒ천지일보 2020.10.4
ⓒ천지일보 2020.10.4

‘종교 속 궁금증’은 우리 삶에서 흔히 가질 수 있는 종교와 관련된 상식과 궁금증을 해결해보는 코너입니다. 매주 일요일 연재됩니다. 

[천지일보=박선아 기자] “비나이다, 비나이다. 천지신명께 비나이다.”

동이 틀 무렵 첫새벽, 물이 담긴 그릇을 장독대 위에 올려놓고 자식들을 위해 기도하는 어머니의 모습. 사극이나 드라마를 통해 한 번쯤 봤을 법한 장면이죠. 왜 우리네 어머니들은 두 손 모아 간절하게 기도할 때에 깨끗한 물을 앞에 담아놓은 걸까요.

선조들은 집안에 우환이 있거나, 복을 빌고자 할 때 이른 새벽 처음 길은 우물물을 떠 놓았습니다. 이 물을 우리는 ‘정화수’라고 부릅니다. 흔히들 ‘정안수’라고 부르는 이 물은 물중에서도 으뜸으로 꼽힌다고 합니다. 우리네 어머니들은 목욕재계를 한 깨끗한 몸으로 정화수 앞에서 간절히 기도했습니다.

정화수와 같은 역할을 하는 의미로 천도교에 ‘청수’라는 것이 있습니다. 천도교에서는 청수 한 그릇을 올리고 기도를 드립니다. 천도교 가정에서는 매일 저녁 9시에 온 가족이 모여 청수 한 그릇을 놓고 21자 주문을 105회 묵송하는 기도식을 갖는데, 이를 통해 온 가족이 화목해지고 큰 우환 없이 지낼 수 있게 된다고 믿습니다.

가톨릭에서는 ‘성수’가 비슷한 개념으로 쓰입니다. 흔히 그리스도교 예식인 세례식 때 사용하는 ‘성세수’를 가리킵니다. 보통 그리스도를 믿으면 그 믿음으로 말미암아 물과 성령으로 새로 태어난 하느님의 자녀가 된다는 사실을 상기시키기 위해 성수를 사용합니다.

기독교 구약시대에는 제사장이 ‘물두멍’에서 손과 발을 씻어야만 하나님께 제사를 드리던 성막에 들어갈 수 있었습니다. 이 또한 더러움을 씻고, 깨끗한 몸과 마음으로 신에게 나아간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개신교 성경 요한계시록에는 ‘유리바다’가 나옵니다. 이 유리바다는 창조주 하나님이 계신 하늘 영계의 보좌 앞에 있는 것으로 수정과 같다고 합니다. 유리바다 앞에 모여 있는 자들은 흠이 없는 사람들 즉 죄가 없는 깨끗한 사람들입니다. 이 유리바다 앞에서는 모든 것이 다 드러난다고 하니 허물 있는 사람은 절대 갈 수 없는 곳이겠죠.

이렇게 다양한 종교 속에서 정화수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는 것들을 살펴봤습니다. ‘청수’ ‘성수’ ‘물두멍’ ‘유리바다’ 등 이름은 달라도 모두 자신을 씻고 정결한 모습으로 신에게 나가는 의미로 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