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평화를 지켜내기 위한 국제사회의 요구와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한반도 평화의 주역이라 할 수 있는 주변 6개국(한국, 북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의 사정은 호락호락하지가 않다. 지난 2003년 8월에 결성돼 수석대표 간 첫 모임을 가졌던 북핵 6자회담은 마지막 회동인 2012년 9월 이후 흐지부지한 상태가 됐고, 그 대신 남북회담, 북미회담, 한미일 정상회담 등 실제적인 한반도 평화를 지켜내기 위한 무게감 있는 회담이 이어졌지만 그마저도 북핵 해결이라는 궁극적인 목표를 이루어내지 못하고 있는 어정쩡한 상태로 있다.

그런 관계로 한국이 독자적으로 나서서 북핵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지만 그 문제 해결을 위한 진일보한 노력을 보여 왔던바 남북 간 또는 미국을 비롯해 중국, 일본과의 개별협상이었다. 북핵문제 해결에 대해 북한이 한발 뒤로 빠져 있는 사이에 한미, 한미일 관계의 우호 돈독과 협력이 강조되고 있으나 미국은 오는 11월에 치러질 대통령선거 관계로, 일본은 아베 신타로 총리가 신병을 이유로 사퇴함에 따라 향후 추이를 살펴봐야 하는 지경에 다다르게 됐다.

먼저 복잡한 미국 사정이다. 현지여론에 의하면 바이든 후보에게 다소 밀리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지지율에 관심 갖고 ‘미국우선’ 정책에 매달릴 뿐 당분간 북핵문제나 일본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 사퇴에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과거 트럼프 대통령 당선 직후 가장 먼저 미국을 찾아 트럼프 대통령을 지지했던 아베 총리의 사퇴가 있던 지난 28일 이후 그에 관해 한마디 언급도 없었다. 대통령 후보 수락연설에서도 동맹국과의 방위비 분담을 주장하고 오직 ‘아메리카 퍼스트’를 강조했으니 이에 따른 한미방위비 협상은 다가올 난제 중 하나다.

외교 당국에서는 가뜩이나 한일관계가 호전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포스트(Post) 아베’가 한국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에 대해서도 정밀 분석해 대응해나가야 할 것이다. 청와대와 외교부에서는 “일본의 새 총리, 새 정부와 협력하겠다”고 밝혔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원론적인 멘트인 것이다. 아베 정부에서는 최근까지도 한국정부와 각을 세운 사안들이 많다. 특히 아베 총리는 위안부 문제 등 과거사 문제에 대해서 사과 없이 강경한 태도를 견지해왔다. 한일갈등을 유발했고, 지난해에는 강제징용 판결을 이유로 한국에 대한 수출 규제 정책을 강행하는 등 한일 관계 악화를 주도했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아베 총리가 물러난 마당에 한일관계는 개선돼야 하겠지만 국내 외교통에서 근본적 변화가 없을 것이란 어두운 전망이다. ‘포스트 아베’에서 달라진 한일관계에 터 잡아 새로운 한미일 협력도 다져져야 할 것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