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상욱 역사 칼럼니스트

소봉래(小蓬萊)라고도 부르는 육황정(毓璜頂)공원은 산동성 연태에 있다. 원래는 옥황정(玉皇頂)이었다. 청의 도광19년에 유차원(劉次垣)이라는 문인이 지은 글이다.

‘옥황정이란 이름은 너무 가소롭다! 산맥이 탑처럼 솟고, 기세가 용처럼 꿈틀거리니 멀리서 보면 목마른 준마가 물을 찾는 것 같다. 동으로는 우뚝 솟은 군봉이 비단처럼 태양을 감싸고, 서로는 우거진 숲이 겹겹이 에워싼다! 세속에서 벗어난 서산이 홀로 우뚝 솟았으니, 이곳이야말로 정화(精華)의 기를 기르는 곳이다. 그러므로 이곳은 육황이라 부르는 것이 옳겠구나!’

‘육’은 기른다는 뜻이고 ‘황’은 상서로운 옥으로 만든 그릇을 가리킨다. 옥황상제라는 이름만으로는 이곳의 아름다운 특징을 살리지 못한다는 의미일 것이다. 육황은 여기에서 비롯됐다. 산문 입구의 가파른 절벽 위에 응상(應霜)이라는 종루(鐘樓)와 기우(起雨)라는 고루(鼓樓)가 따로 서 있다. 비범한 기세와 독특하고 아름다운 구조를 자랑한다. 볼수록 의미심장한 제명이다. 새벽에 종을 치고 저녁에 북을 치므로 신종모고(晨鐘暮鼓)라고 부르지만, 이곳에서는 서리 상(霜)으로 새벽, 비가 내리기 전에 울리는 천둥소리로 북소리를 대신했다. 이런 기백은 육지의 장관보다 마주한 바다 덕분일 것이다.

향약정(向若亭)은 청의 동치(同治) 5년에 지었다. 향은 ‘~쪽으로 마주한다’는 뜻이고, 약은 해신의 이곳에서는 ‘대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따라서 ‘향약’은 대해를 마주본다는 뜻이다. ‘망양흥탄’은 장자(庄子) 추수편(秋水篇)에서 비롯됐다.

“가을이 되어 물이 불어나니 온갖 하천의 물이 모두 황하로 흘러들었다. 장대한 황하의 흐름을 본 황하의 신 하백(河伯)은 의기양양해 세상의 모든 것이 자기 관할 아래로 모였다고 생각했다. 하백은 황하의 물길을 따라서 동쪽으로 갔다. 그곳에는 아무리 눈을 씻고 바라보아도 끝이 보이지 않는 대해가 있었다. 비로소 그는 자신이 알고 있었던 세계가 얼마나 작은 것이었는지를 깨달았다. 그는 북해를 관장하는 북해약(北海若)에게 다음과 같이 탄식했다. ‘경박한 자는 1백여 차례 도에 관한 말을 들으면 그것으로 이미 자기가 최고라는 생각을 합니다. 그 말이 저와 같은 자를 두고 한 말임을 깨달았습니다. 저는 공자의 박식함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백이의 고결함을 비웃는 자가 있다는 말을 듣고 믿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오늘 이곳에 와서 대해를 바라보니 감히 헤아리지 못할 만큼 위대한 것이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이곳에 오지 않았다면 저는 대도를 깨달은 사람들로부터 비웃음을 살 뻔했습니다.’”

‘망양흥탄’은 우물 안의 개구리가 넓은 세상을 보고 탄식한다는 뜻이다. 120년 전에 반울(潘蔚)이라는 사람이 정자를 짓고 나서 이곳의 경치에 반해 스스로 겸손해졌다는 의미에서 향약정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소봉래석방의 중앙에 걸린 ‘파도(播濤)’라는 글씨는 신선이 대해를 바라보는 것 같다. 아래쪽에 세로로 걸린 ‘신선표묘(神仙飄渺)’라는 글씨는 유차원의 아들 유풍표(劉風彪)가 천진에서 공부하다가 돌아와 쓴 것이다. 오른쪽에는 ‘음풍(吟風)’, 왼쪽에는 ‘농월(弄月)’이라는 글씨도 있다. 맨 꼭대기에는 ‘관정(觀靜)’이라는 2개의 글씨가 있다. 관은 도교사원을, 정은 그윽하고 고요하다는 뜻이다. 이곳이 수련하기에 좋은 곳이기 때문이다. 왼쪽에는 ‘청도(聽濤)’, 오른쪽에는 ‘관해(觀海)’라는 글씨가 있다. 문설주에 귀를 대면 파도소리가 들리고, 눈을 뜨면 아득한 바다가 보인다는 뜻이다. 또 ‘천하문장막대우시(天下文章莫大于是), 일시명사개기유一時名士皆從其游’라는 대련도 있다. 소봉래에 와서 대해를 바라보며 파도소리를 들으면, 아무리 천하의 문장가라도 그것을 제대로 표현하기가 어려우며, 당대의 명사들이 모두 이곳에 와서 놀기를 좋아한다는 뜻이다. 아름답고 웅장할수록 겸손의 미덕을 갖추어야 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