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학수 스포츠 칼럼니스트·스포츠학 박사 

정부가 지난주 프로스포츠 관중 입장을 수용 인원의 10% 수준에서 허용했다. 프로야구는 정부 지침대로 가장 먼저 발 빠르게 관중 입장을 시작했다. 프로축구도 8월 초부터 프로야구에 이어 10%선에서 관중 입장을 한다는 방침이다.

정부가 관중 입장을 허가한 것은 코로나19 방역대책이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두었다는 자체 평가를 내리고 프로스포츠의 정상화를 위해 관중 입장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 나온 조처였다. 프로스포츠 관계자들은 정부의 관중 입장 허용을 환영하면서도 10%라는 제한선을 둔 것에 대해 내심 불편해 하는 모습이다. 입장 관중 수가 워낙 적다보니 비용 관리만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프로야구의 경우 지난 1982년 출범 이후 만성적인 적자에 허덕였다. 수익적인 측면보다 모기업의 홍보적인 차원에서 프로야구단을 운영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수입보다 지출이 많다보니 경영개선을 하기가 매우 어려운 것이 프로구단들의 속사정이다. 코로나19의 대유행은 프로구단들에게 설상가상으로 경영난을 가중시켰다.

지난 5월 5일 개막한 프로야구는 지난 2개월여간 코로나19 확산을 우려해 무관중으로 경기를 치렀다. 올해는 개막일정이 차질을 빚으며 팀별로 경기수가 줄어들 것으로 보임에 따라 적자 규모가 더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프로구단들은 무관중 경기를 치르면서도 관중 입장이 재개돼 적자폭을 그나마 줄이기만을 내심 기대하고 있었다. 하지만 정부의 관중 입장 10% 제한지침에 걸려 실낱같은 기대도 무참하게 무너질 우려가 높아졌다.

한국야구위원회에 따르면 10% 관중을 받아들이고 경기를 할 때와 무관중 경기를 할 때를 비용적인 측면에서 대비한 결과 오히려 관중을 받을 때 비용이 더 커지는 역설이 드러냈다. 입장 관중의 수가 워낙 적다보니 이를 관리하기 위한 운영 비용은 무관중 경기를 할 때보다 오히려 더 늘어난다는 것이다. 관중들을 체크할 열 감지 장비 등 시설비가 추가되기 때문이다. 정부의 지원을 일부 받더라도 비용적인 면에서는 부담이 더 늘어난다는 얘기이다.

매년 프로야구는 한 시즌을 치르면서 전체 손실은 1800억원 안팎으로 집계됐다. 10개 구단이 평균적으로 팀당 180억원씩 손해를 본다는 계산이다. 경기당 2.5억원의 손해를 보는 것이다.

10% 관중 제한은 적자 폭만 늘리는 결과를 가져왔다는 지적이다. 기본적인 경기장 관리인원에다 방역 인원과 장비 비용까지 추가되면서 전체 비용이 오히려 늘어난 것이다. 당초 10% 관중이라도 받아들여 수입 증대를 생각했던 구단으로서는 황당할 수밖에 없는 일이다.

프로야구는 전체적으로 규모의 경제를 유지해야 손실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지금의 10% 관중 제한 지침으로는 도저히 ‘언 발에 오줌 누기’가 될 뿐 경영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게 프로야구 관계자들의 볼멘소리이다. 한 프로야구단 관계자는 “관중 10% 입장은 방역적인 측면에서도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한다”며 “야구장은 넓은 야외장소이기 때문에 2m 사회적 거리두기를 감안하더라도 10%는 너무나 적은 규모이다”고 지적했다.

프로야구에 이어 프로축구도 비슷한 상황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프로야구보다도 수익적인 측면에서 마이너스 요인이 더 많은 프로축구는 10% 관중 제한을 할 경우 손해액이 더 커질 전망이다. 결국 프로야구처럼 관중을 받을수록 손해 보는 전철을 걸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정부의 10% 가이드라인이 어떤 기준에서 나온 것인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프로구단들의 현실적인 손익 규모를 고려하지 않고 단기적이고 근시안적인 행정 위주의 정책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닐까하는 추측을 해 본다. 이미 스포츠팬들은 사회적 거리두기와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됐다. 관중 입장을 허가한다면 좀 더 현실적인 면을 고려해 정책이 나왔어야 한다는 것이 프로관계자들의 주문이다.

정부는 전체적인 방역 기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방역대책 등은 프로구단에 위임해 구단 상황에 따라 관중들의 입장을 허가하는 게 좀 더 진일보한 방법이 아닐까 싶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