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A중학교 G교사는 최근 김장훈의 독도 콘서트에 관한 기사를 검색하기 위해 인터넷뉴스 사이트에 접속했다.

학생회 회원들과 독도에 관한 행사기획을 논의하기 위해 모인 자리에서 G교사는 사이트에 접속한 순간 민망함을 감출 수 없었다.

인터넷 뉴스창에 보이는 것은 기사보다 더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반라의 사진들 그리고 온갖 선정적 광고와 문구들이었다.

이 같은 각종 포털사이트와 언론매체의 도를 넘는 선정적 광고로 인해 한창 인터넷을 사용하는 학생을 둔 학부모와 교사들의 근심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일선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인터넷을 학습공간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는데다 교사가 직접 흑판을 통해 전달할 수 있는 간단한 공유사항도 학급 홈페이지를 통해 공지하게끔 하는 등 인터넷의 적극적 활용을 권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학생들은 인터넷 포털사이트나 언론매체의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스포츠나 연예 분야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어 자연스럽게 선정적인 기사나 광고의 유혹에 빠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GSGT(아름다운 문화를 만들어 가는 스승과 제자모임) 정미경 대표는 “유해 사이트나 스팸 메일 등은 차단할 수 있다 하더라도 인터넷뉴스 주변에 떠있고, 네이버 등 포털사이트에서도 실시간으로 검색되는 선정적인 광고를 통제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언론매체의 선정적 광고는 청소년의 건전한 성문화를 왜곡시키는 첩경”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이 같은 선정성 있는 광고가 한창 호기심이 많은 학생들에게 잘못된 성에 대한 인식을 심을 수 있다는 것이 정 대표의 설명이다.

그는 심지어 포르노 등 음란물을 자신들의 성에 대한 지식을 공부하는 지침서 정도로 인식하는 학생들이 많다고 말했다.

또 그는 “학부모들이 문제의 심각성은 인식하면서도 내 자식은 괜찮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그것은 잘못된 판단”이라며 “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학부모들이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 김형권 사무총장은 “이 같은 선정성 광고를 금지하는 법령이 있음에도 언론이 이를 지키지 않을 뿐 아니라 이를 감시하는 기관들도 제대로 관리감독을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무엇보다도 그는 인터넷의 선정적인 광고의 노출 수위가 심하다 보니 이성적으로 제어가 안 되는 청소년들이 그것을 접할 시 자신을 컨트롤하지 못하고 보이는 것이 전부인 것처럼 스스로 판단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