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박수란 기자] 우리나라 가구의 상대적 빈곤율이 전체적으로 감소했으나 1인 가구만 제자리걸음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현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경제·인문사회연구회(경사연)의 발간 예정 리포트에 게재한 ‘1인 취약가구 증가에 따른 정책대상 선정기준 조정 및 정책지원 방향’에서 이런 내용의 분석을 공개했다.

최 연구위원이 통계청의 2019년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활용해 2017~2018년 연간소득 기준으로 상대적 빈곤율을 비교·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전체 상대적 빈곤율은 17.1%에서 16.3%로 약 0.8%포인트 떨어졌다.

상대적 빈곤율이란 전체 인구에서 중위소득(총가구를 소득순으로 줄 세웠을 때 정중앙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의 50% 미만인 계층이 자치하는 비율로, 상대적 빈곤율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가난한 사람이 많다는 의미다.

1인 가구의 상대적 빈곤율은 51.4%에서 51.3%로 고작 0.1%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2인 이상 가구의 경우 상대적 빈곤율이 14.5%에서 13.4%로 약 1.1%포인트 감소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2인 가구는 약 0.6%포인트, 3인 가구는 약 1.7%포인트, 4인 이상 가구는 약 1.6%포인트 각각 줄었다.

최 연구위원은 전체 상대적 빈곤율 감소에 대해 다양한 일자리 사업과 정부의 재정지출이 늘어나면서 공적이전소득도 증가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전했다.

또 1인 취약가구에 대한 일자리나 소득지원, 다양한 사회서비스 제공 등 정책적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통계청의 올해 1분기 가계동향조사에서도 1인 가구만 소득이 작년 같은 분기보다 4.8% 줄어들었지만, 2인 이상 가구는 모두 소득이 늘거나 그대로였다.

최 연구위원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1인 가구는 다양한 영역에서 불평등한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을 가능성이 높다”며 “기존의 정책대상 선정기준과 지원수준 확대를 추진하고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