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우 부산환경교육센터 이사

처음 코로나바이러스가 퍼졌을 때 사람들은 감염 원인을 야생동물 식용에서 찾았다. 중국에서 식용하는 야생의 박쥐 또는 천산갑에서 바이러스가 옮겨와 감염됐다고 추정했다. 확실하게 밝혀지진 않았지만 이 주장은 여전히 유효하다. 코로나19가 인수공통바이러스이고 또 야생동물 시장으로 유명한 중국의 우한에서 최초 발생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야생동물 식용 금지와 야생동물 보호에 대해 더욱 노력해야 한다.

그런데 세계적인 석학인 제러미 리프킨은 코로나19의 근본 원인을 기후변화에서 찾았다. 요즘은 그 심각성을 강조하기 위해 ‘기후위기’라는 표현을 더 많이 쓰지만 기후변화, 좀 더 직접적으로 말해 ‘지구온난화’로 인한 모든 결과가 이 팬데믹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기후위기에서 팬데믹의 원인을 찾는 그의 주장은 매우 통찰력이 있어 보인다.

지구온난화로 지구의 물 순환이 급격하게 바뀌고, 생태계가 변화하는 물 순환을 따라잡지 못하고 붕괴한다. 또한 인간은 숲을 밀어버리고 야생을 개발해 경작지나 목축지로 사용한다. 이것 역시 기후변화를 가속화한다. 인간이 지구에 남은 마지막 야생의 터 마저 침범한다. 그리하여 야생 생명들의 이주가 시작됐다. 인간들이 재난을 피해 이주하듯 동물뿐 아니라 식물, 바이러스까지 기후재난을 피해 탈출한다. 서식지가 파괴됐기 때문에 인간 곁으로 왔고, 바이러스는 동물의 몸에 올라타서 이동했다. 최근 몇 년 동안 에볼라, 사스, 메르스, 지카와 같은 팬데믹이 발생한 이유이다.

따라서 지구온난화에 따른 물 순환 교란으로 지구 생태계가 붕괴하고, 또한 인간이 지구에 남은 마지막 야생의 터를 파괴하고, 기후변화와 서식지 파괴로 인해 야생 생명들의 이주가 시작되면서 팬데믹이 발생하게 됐다는 그의 주장은 매우 논리적이고 설득력이 있다. 도대체 이 팬데믹이 기후위기에서 파생된 것이 아니라면 그 원인을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그는 기후변화로 인한 감염병이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공산이 크다고 경고한다.

“앞으로 더 많은 전염병이 창궐할 겁니다. 이제는 팬데믹이 올 때마다 1년 반 정도 록다운될 것을 예상해야 해요. 초기 단계에서 록다운을 해도 약 6개월 뒤에는 두 번째 파고가 찾아옵니다. 초반에 완전히 봉쇄하지 않으면 두 번째 파고는 훨씬 심각합니다. 그다음에 백신이나 항체가 나오길 기다려야 하죠. 우리는 경제를 새로 조직하고 사람들과 만나는 사회생활 그리고 통치 방식까지 재정립할 필요가 있습니다.”

새로운 재앙의 원인이 기후위기에 있다면 우리는 이제 기후위기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그것은 기존의 대응방식을 벗어난 완전히 새로운 것이어야 한다. 도래하는 포스트 코로나 사회에서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던 기존의 낡은 방식이나 패러다임만으로는 위기를 극복할 수 없다. 보다 근본적이고, 보다 구체적이고, 보다 확실한 목표와 실천의지가 담보된 급진적 전략이 수립돼야 할 것이다. 리프킨의 말처럼 ‘사회생활 그리고 통치 방식까지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그린 뉴딜(Green New Deal)이 시대적 화두로 떠오른 이유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