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부터 월간 글마루에서 연재하고 있는 ‘남한지역 고구려 유적 답사’ 시리즈를 천지일보 온라인을 통해 선보입니다. 우리의 역사를 알고 더욱 깊이 이해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과거 연재시기와 현재 노출되는 기사의 계절, 시간 상 시점이 다소 다른 점을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오녀산성
오녀산성

곳곳에 산재한 고구려 흔적

파사성은 가장 특징적인 옹성을 제외하고서도 파사성의 축조방식은 놀랍게도 만주 고구려 산성인 오녀산성(중국 요령성 본계시 환인만족자치현)과 환도산성(지린성 지안현), 백암산성(요녕성 등탑시 서대요진 관둔촌)을 닮고 있다.

치성(雉城)·곡성(曲城)·성상면(城上面)의 석열 구조 등이 너무 닮아있다. 사진을 비교해 보면 일반인들도 쉽게 수긍이 갈 것이다. 이런 축조방식 때문에 이 성이 지금까지 잘 보존된 것으로 해석된다.

환인현 혼강 맞은편 기슭에 있는 오녀산성은 해발 800m 높이의 산 정상에 축조되어 있다. 전체 둘레는 4754m나 된다. 정상부의 지세는 평탄하지만 바깥 면은 100~200m 높이의 절벽을 이루고 있다. 오녀산성은 강원도 영월군에있는 고구려 산성 왕검성과 비슷하다. 산의 높이나 절벽을 응용하여 쌓은 방식이 너무 닮아있다.

오녀산성과 파사성 축성 방법은 들여쌓기를 하였다. 성벽의 기울기는 대략 80도 정도를 유지하고 있다. 고구려 성의 전형적인 모양새다. 양주 대모산성, 포천 반월성, 충주 장미산성의 축조방법과 같다.

오녀산성과 국내성 성벽이나 환도산성의 남벽처럼 평지성이나 평지부분을 가로지르는 성벽은 대체로 협축으로 구축하였다. 이러한 협축 셩벽의 구축방법에는 환도산성의 남벽이나 백암성 성벽처럼 성벽의 내부를 치밀하게 석재로 쌓는 방법이 있고, 국내성처럼 성벽의 기저부와 중간부분은 판축을 하고 성벽의 내외면만 석축을 하는 방법이 있다. 바로 파사성도 이런 방식으로 쌓아 올렸다.

성 내부를 석재로 채워 넣는 석축방법은 비교적 이른 시기의 성벽이나 석재가 풍부한 지역에서 구축하는 방법이다. 파사성의 성 상면을 보면 이런 방식이 너무 완연하다. 이는 신라나 백제 양식과는 차이가 있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후 구축한 일부 성벽에서는 이런 형태가 나타난다. 신라통일 직후 구축한 거창 거열성, 예산 임존성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는 신라가 고구려성의 장점을 살려 구축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성벽의 기저부나 중간 부분은 판축을 하거나 잡석으로 채워 넣었다. 내외면만 석축을 하는 축성방법은 국내성이 축성되는 4세기대 이후 고구려 성벽의 일반적인 축성 방법이다. 국내성, 대성산성 호로고루, 당포성, 은대리성과 이번 조사한 파사성, 거열성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여주 파사성
여주 파사성

환도성은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산상왕(山上王)조에 나온다. 중국 지린성(吉林省) 지안시(集安市)의 산성자산(山城子山)에 위용을 자랑하고 있다. 산상왕 1(197)년 공손탁(公孫度)이 고구려를 침략하자 산상왕이 이듬해 ‘위나암성’을 전면 증축하고, 환도성이라 하였다는 기록이 그것이다.

환도성 조사보고서를 보면 성은 남고북저(南高北低)의 지형에 동·서·북 삼면이 절벽으로 이루어진 천혜의 요새라고 돼 있다. 둘레가 약 6395m, 성문은 모두 6곳이나 된다. 기록대로 유사시 왕도를 삼을 만한 큰 규모다.

산성은 전형적인 포곡식 산성이다. 한반도 중부지역에서 조사되는 일부 성에서는 포곡식성이 많이 조사되고 있다. 이 포곡식은 백제계의 테메식을 보완, 산 능선을 이용하여 구축한 것이 많다. 그리고 고구려 성의 장점인 치(雉), 옹성(甕城) 등을 구축하는 것이다. 강원도 양구 비봉산성, 경기도 양주 큰 테미 성의 성벽은 자연적인 산 능선을 따라 포곡식을 이루고 있다. 파사성도 그 한 예를 보여준다.

역사의 뒤안길에 숨어 있는 여주 파사성. 고구려 골내근현의 비밀을 간직한 웅장한 모습에 입춘이 지난 2월의 태양빛이 찬란하다. 글마루 취재반은 찬바람 속에서도 뼈저리게 한반도의 진정한 역사, 고구려의 강건함을 느꼈다. 

 

여주 파사성 입구 표지판
여주 파사성 입구 표지판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