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부터 월간 글마루에서 연재하고 있는 ‘남한지역 고구려 유적 답사’ 시리즈를 천지일보 온라인을 통해 선보입니다. 우리의 역사를 알고 더욱 깊이 이해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과거 연재시기와 현재 노출되는 기사의 계절, 시간 상 시점이 다소 다른 점을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글 이재준 역사연구가·칼럼니스트 사진 글마루 

 

당포, 은대리 백제성 점령 후 성지 보축

당포성
당포성

연천 고구려 유적의 보고

백제 땅이었던 경기도 연천(漣川)은 4세기 후반 고구려 영토로 편입되었다. 광개토대왕이 호로고루성을 정복한 시기로 추정된다.

고구려는 임진강과 한탄강을 장악하고 백제가 쌓아놓은 몇 개의 토루식(土壘式)성에다 고구려식으로 보축하여 기능을 보강했다. 호로고루 인근 당포와 연천읍과 가까운 임진강과 한탄강의 합류 지점인 은대리에도 읍성형태의 고구려 유적이 찾아진다.

그렇다면 이 일대는 ‘호로고루-당포-은대리’를 잇는 광역의 고구려 사이트다. 한반도에서 이처럼 집중적으로 고구려 유적이 밀집해 있는 곳은 드물다. 가히 고구려 유적의 보고라고 말할 수 있다. 이곳에 선사박물관 이외 고구려 역사박물관을 건립해야 한다는 명분을 입증하고 있다.

당포와 은대리성은 역사, 고고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이들은 어디에서 그 많은 석재를 가져온 것일까. 연천 임진강 일대는 화산암인 현무암지대다. 흔히 제주에서만 볼 수 있는 곰보돌이 많다. 땅을 파면 많은 양의 현무암이 노출된다. 그리고 한탄강 강변에는 각종 풍부한 석재들이 즐비하다. 고구려 군사들이 석재를 구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았을 것이다.

연천군 전곡리 주변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있는 산에서도 고구려성을 찾을 수 있을지 모른다. 연천 주변의 보개산(寶蓋山), 웅섬산(熊閃山) 등이다. 고구려는 대부분 높은 산을 의지하여 포곡식 성을 쌓았다. 중국이나 평양 등지에서 조사되는 고구려 주요성들은 대부분 포곡식이다.

은대리, 당포, 호로고루가 임진강 수로를 방어하는 읍성이자 요새라면 유사시 주민들을 보호할 난공불락의 산지성이 있어야 한다. 산성을 조사하는 것은 무척이나 힘들다. 역사학자들도 피하는 것이 산성연구다. 연천군내 산성 조사는 앞으로 젊은 학도들이 규명해야 할 과제다.

연천국 전곡읍 은대리성
연천국 전곡읍 은대리성

백제의 곰뫼성 ‘공목달’로

연천군 기록을 보면 백제 때 ‘곰뫼성’ 혹은 ‘고모루성’이었다가 ‘공목달(工木達)’ ‘웅섬산(熊閃山)’으로 불렸다는 것이다. 공목달은 고모루와 음이 비슷하고 웅섬은 곰뫼성과 닮아있다.

고모루, 곰뫼성은 백제식 표현으로 공주(熊津)를 곰나루, 고마나루로 부른 것과 같다. 유독 백제 땅에서 고마라는 이름이 많이 전해내려 온다. 중국 <북사>에는 백제의 도읍지를 ‘고마성’이라고 불렀다는 기록도 있다.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고마’와 관련된 땅이름으로 ‘고미현(곤미현)’ ‘고마미지현(무진주)’ ‘고마지(고노현)’ ‘고마며지현(마읍현)’이 나타난다.

‘공목달’은 <삼국사기> 지리지에도 기록된다. ‘한산주 공목달현(工木達縣)은 경덕왕이 공성 현(功城縣)으로 개명했는데 지금의 장주(獐州)’라는 기록이 있다. ‘공목’은 ‘고마’의 다른 표기였으므로 ‘웅(熊)’의 뜻이며 ‘달(達)’은 고구려계 땅 이름인 ‘산’이나 ‘고(高)’를 지칭하는 표현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 건치 연혁조에 “연천군(漣川郡)은 본래 고구려 공목달현(工木達縣)으로 웅섬산(熊閃山)이라고도 불리었다. 신라에서 공성(功成)으로 고쳐서 철성군(鐵城郡) 영현으로 만들었다. 현종 9(1018)년에 동주(東州)에 예속시켰으며, 명종 5(1175)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本高句 麗工木達縣 一云 熊閃山 新羅改功城爲 鐵城郡領縣 高麗 改爲 獐州..顯宗九年屬 東州明宗五 年 名改今云云)”는 내용이 기록된다.

조선 세종 때 경기관찰사를 지낸 최부(崔府)는 연천을 가리켜 ‘산들로 에워싼 곳’이라고 예찬 했다. 이 시기 문사 성개(成槪)는 조용한 마음으로 연천을 노래했다.

공사 끝내고 책상에 의지하여
우연히 남산을 바라보니
새는 푸른 언덕으로 들어가고
구름은 푸른 바위구멍에서 나오네

<조선 팔도노래>라는 운문이 있다. 작자미상의 이 노래 속에 연천송이 있다.

(전략)

고구려 공목달(工木達)이다가 신라에는 공성(功成)이라. 고려의 장주(漳州)라가 충선왕 때 연천이다. 다른 이름으로 웅섬산(熊閃山) 장포(獐浦)로도 불렀다.

보개산(寶蓋山) 오봉(五峯) 견불(見佛)은 동쪽에 솟아있네. 차탄(車灘) 여울 너머로 가사평(袈裟坪) 펼쳐지고 징파도(澄波渡) 나룻배는 장단(長湍) 임진(臨津) 건네주네. 길손을 건너게 하는 뱃사공이 고맙구나.

송절원(松折院) 옥계역(玉溪驛)에 김극기(金克己)의 고향시요 오봉산에 오봉사(五峯寺)요 보개산에 고성(古城) 있네.

(하략)

글마루 취재반은 지난 호에 이어 연천 땅을 답사했다. 당포성, 은대리성도 모두 중요한 고구려 유적이기 때문이다. 이 두 곳의 성지는 어떤 비밀을 간직하고 있는 것일까.

연천군 전곡읍 은대리성
연천군 전곡읍 은대리성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