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유사 이래 가장 강력했던 ‘일본제품 불매운동’으로 온 나라가 들끓었다. 일본의 명분 없는 對한국 수출규제에 ‘금방 끝날 것이다’ ‘한번도 성공한 적 없는 일본 불매운동’이라는 조롱이 더해지자 대한민국은 하나로 뭉쳤다. “3.1운동은 못 했어도 불매운동은 한다”며 발 벗고 나선 국민의 투지가 식품·자동차·여행 등 일본 산업 전반을 강타했고 결국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 일부 완화’라는 결과를 끌어냈다. 아직 끝나지 않은 ‘2019년 일본 불매운동’의 파급력을 데이터로 정리해본다.

일본제품 불매운동 참여 경험과 구매포기 제품 비율. (출처: 농촌경제연구원) ⓒ천지일보 2019.12.31
일본제품 불매운동 참여 경험과 구매포기 제품 비율. (출처: 농촌경제연구원) ⓒ천지일보 2019.12.31

‘NO일본’ 국민 70%가 함께했다

50% “수출규제 해결까지 참여”

10명 중 3명, 해결후에도 계속

‘3년 이상 지속’ 전망도 26%

[천지일보=이승연 기자] ‘한국의 일본 불매운동은 한번도 성공한 적이 없다’는 일본의 조롱을 비웃듯 올해 ‘수출규제發’ 불매운동은 국민 80% 이상의 지지를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참여도 높아 일본 기업들이 휘청일 정도의 타격을 입었다. 지속기간도 일본의 예상을 벗어나 장기화할 전망이다.

최근 농촌경제연구원(KREI)은 ‘2019년 식품소비 및 식생활 행태조사’에서 올해 이슈된 ‘일본제품 불매운동과 식품소비’에 대한 부분을 별도로 다뤘다. 이 조사결과에서 불매운동과 관련한 소비자들의 종합적인 의견이 도출됐다.

일본이 한국으로의 수출을 규제한 후 국내 소비자들이 일본제품을 바라보는 인식은 완전히 달라졌다. 불매운동 이전에는 소비자 44.7%가 일본제품을 긍정적으로 인식했고 부정적 인식은 23%에 불과했다. 하지만 이후 소비자의 81.5%가 불매운동에 찬성했다. 찬성하는 이유로 ‘부당해서(34.3%)’라는 이성적 판단이 ‘망언 발언에 화나서(28.8%)’라는 감정적 판단을 앞섰다. 이번 불매운동이 조직적이고 단발성으로 그치지 않았던 이유를 찾을 수 있는 대목이다.

실제 불매운동에 참여한 소비자도 조사대상의 70.4%(1070명)에 달했다. 이들이 불매한 일본제품을 분류해보면 식품이 83.9%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의류(58.7%), 여행관련(34.2%), 화장품(32.6%), 생활용품(30.7%), 유통업체 방문(26.4%), 약품(25.0%), 금융업(25.0%), 전자제품(15.4%), 취미(15.3%), 육아(12.0%), 반려동물관련(11.7%), 자동차·오토바이(11.5%) 순이었다.

불매운동으로 구입을 줄인 식품류 중에는 소스류가 가장 많았고(43.4%), 낙농제품 및 빙과류, 기타주류, 맥주 순이었다. 불매한 해당 품목은 국내산으로 대체했다는 의견이 대다수였다.

외식업도 불매운동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소비자 33%가 ‘일본 기업이 운영하거나 한국에 진출한 일본 식당에서 식사를 줄였다’고 응답했다. 또 일본기업이 아님에도 ‘일본 음식을 파는 식당을 방문하지 않았다’는 응답도 29.6%에 달했다.

이처럼 전방위적 산업에 타격을 입히며 일본을 당황케 한 이번 불매운동은 장기화할 전망이다. 60%가 넘는 국민이 불매운동 지속기간은 1년 이상으로 예상했다. ‘1~3년’을 전망한 비중이 34.4%로 가장 높았고 ‘3년 이상 지속’에 꼽은 경우도 25.9%에 달했다. 직접적인 참여계획 조사에서도 결과는 같았다. ‘수출규제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라는 답변이 49.2%로 절반에 달했다. 이뿐 아니라 ‘수출규제 문제가 해결되더라도 일본제품 불매운동을 지속하겠다’는 응답도 26.6%에 달했다. 결국 과반 이상이 기간에 상관없이 참여를 지속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셈이다.

불매운동 참여계획 및 지속기간 예상. (출처: 농촌경제연구원) ⓒ천지일보 2019.12.31
불매운동 참여계획 및 지속기간 예상. (출처: 농촌경제연구원) ⓒ천지일보 2019.12.31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