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 제일병원 신생아실에서 간호사들이 신생아를 돌보고 있다. (출처: 연합뉴스)
서울 중구 제일병원 신생아실에서 간호사들이 신생아를 돌보고 있다. (출처: 연합뉴스)

맞벌이·무주택자, 무자녀 비중 높아

맞벌이 보육, 어린이집·가정양육 순

[천지일보=김빛이나 기자] 초혼 신혼부부 10쌍 중 4쌍은 자녀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소득이 많을수록 하위 소득구간의 신혼부부보다 자녀 출산율이 낮게 나타났다.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신혼부부통계’에 따르면 작년 11월 1일 기준 혼인신고를 한 지 5년이 지나지 않은 초혼 신혼부부 105만 2000쌍 가운데 ‘무자녀’ 부부는 42만 3000쌍으로 집계됐다.

초혼 신혼부부가 자녀를 출산하지 않은 비중은 40.2%로 1년 전인 37.5% 보다 2.6%포인트 상승했다.

맞벌이 중 자녀가 있는 부부의 비중은 54.3%로 외벌이 부부(65.7%)보다 낮게 나타났다. 맞벌이 부부의 평균 출생아 수는 0.66명으로 외벌이 부부(0.83명)에 비해 적었다. 아내가 경제활동을 하는 부부 중 유(有)자녀인 경우는 53.8%로, 아내가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부부의 유자녀 비중인 66.8% 보다 낮았다.

주택을 소유한 신혼부부(64.5%)는 주택이 없는 신혼부부(56.0%)보다 자녀 출산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주택을 소유한 부부의 평균 출생아 수는 0.81명이었고, 무주택 부부는 0.69명으로 조사됐다.

지난달 20일 산부인과 전문병원인 서울 중구 제일병원 신생아실에서 간호사들이 신생아들을 돌보고 있다. (출처: 연합뉴스DB)
지난달 20일 산부인과 전문병원인 서울 중구 제일병원 신생아실에서 간호사들이 신생아들을 돌보고 있다. (출처: 연합뉴스DB)

초혼 신혼부부의 유자녀 비중을 아내의 연령별로 비교해서 살펴보면 30대가 64.1%로 가장 높았다. 이어 20대(51.3%), 40대(47.5%), 19세 이하(28.5%), 50대 이상(19.4%) 순이었다. 아내 연령대별 평균 출생아 수는 30대(0.8명), 20대(0.63명), 40대(0.57명) 순으로 집계됐다.

부부의 합산 소득이 높을수록 자녀 출산 비중은 낮아졌다. 1억원 이상 소득을 올리는 신혼부부 중에서 자녀가 없는 비중은 48.6%였다. 이와 달리 1000만원 미만을 버는 부부가 자녀가 없는 경우는 36.5%에 그쳤다.

맞벌이 부부의 평균 출생아 수는 0.65명으로 외벌이인 경우인 0.83명보다 낮았다. 맞벌이 부부의 소득이 높아질수록 평균 출생아 수도 감소했다. 3000만~5000만원 미만의 맞벌이 신혼부부의 평균 출생아 수는 0.73명이었다. 반면 1억원 이상 버는 신혼부부의 출생아 수는 0.59명에 그쳤다.

초혼 신혼부부 자녀 중 만 5세 이하의 영유아 77만 8000명의 보육형태를 살펴보면 어린이집이 48.4%로 가장 높았다. 이어 가정 양육(45.6%), 유치원(3.2%)이 순이었다. 어린이집과 유치원 보육은 1년 전보다 각각 2.4%p, 0.2%p 상승했고 가정양육 비중은 2.1%p 하락했다.

맞벌이 부부는 외벌이 부부보다 어린이집 보육 비중이 9.7%p 높았으며, 아이돌봄서비스(종일+시간제)를 이용하는 경우도 맞벌이가 2.0%p 더 높았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