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병용 칼럼니스트

 

서울의 한 혁신고등학교(이하 H고)에서 교육경력 20년차의 전교조 교사(이하 A교사)가 집단 따돌림을 당해 방출돼 타 학교로 전근을 가야 했다. A교사는 H고에서 ‘혁신학교에 맞지 않는다’라는 이유로 정교사와 기간제교사 등 3명의 교사와 사회복무요원이 교사들의 연대 서명으로 내쫓기는 과정도 목격했다. 심지어 매년 연말 성과급 지급 시기에는 전교조 부장 교사들이 성과급 반납 및 분배를 강요하며 참여를 원치 않는 교사에게 “선생님 혼자만 동참하지 않았다”라는 말을 하며 성과급 분배를 묵시적으로 강요한다.

A교사가 근무했던 혁신학교 H고는 ‘참교육을 가장한 정치집단’이었다. 교과 교육을 제대로 하지 않아 학력저하가 심각한데도 창의성, 인성, 협동 교육을 한다고 자랑했다. 소통과 공감을 가장한 폭력적 민주주의가 공공연히 이루어진다. 일반학교에서 아웃사이더로 지내던 전교조 교사들이 혁신학교에서는 사상교육, 이념교육을 마음껏 할 수 있다. 수업시간에 자신의 정치적 성향을 학생들에게 거침없이 드러내는 교사가 많다. ‘미국은 나쁜 나라이다’ ‘대기업은 모두 나쁘다’는 식의 교육을 서슴지 않고 한다. 혁신학교 숫자를 늘리는 이유도 전교조 교사들이 전근 다니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포석이다. 혁신학교에 한번 부임한 전교조 교사는 다음에도 혁신학교로만 전출을 간다. 평생을 혁신학교에서 마음껏 이념교육을 하며 전교조 교사끼리 똘똘 뭉쳐 일반교사를 따돌림 시키며 그들만의 리그를 만들어 근무한다.

중학교 3학년은 12월에 희망 고등학교를 1지망부터 3지망까지 신청한다. 혁신고등학교는 ‘대안학교’라는 인식 탓에 공부가 싫거나 학교에서 적응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모이는 경향이 있다. 이 학생들은 엉덩이까지 올라가는 짧은 치마를 입고, 진한 화장을 하고 심지어 몸에 문신을 하고도 당당하게 학교를 다닌다. 이런 분위기 탓에 공부를 열심히 하려는 학생은 적응이 힘들어 일반 학교로 전학을 가는 경우가 많다.

혁신학교가 주장하는 창의력, 인성, 협동 교육의 효과는 금방 드러나지 않는다. 창의력도 튼튼한 기초를 토대로 발휘되는 것이지 무에서 유가 나오는 것은 아니다. 창의력, 인성, 협동 교육을 잘한다고 하지만 객관적으로 검증된 자료도 전혀 없다. 토론 수업을 하려면 교사가 훨씬 더 많은 사전준비를 해야 하지만 실상은 교사도 준비를 하지 않으니 노는 시간이다. 심지어 ‘수업시간 중 화장을 허용해야 하는가?’라는 주제로 전교생 토론을 하고 학생들이 스스로 ‘허용해야 한다’고 결론을 내린다. 그 근거가 오직 ‘우리 학교는 혁신학교니까’다. 인헌고의 이념편향 교육 못지않게 H고도 이념편향 교육이 심각했다. 2014년 교내 축제 수익금 1백만원을 쌍용 자동차 노조에 기부하도록 교사들이 뒤에서 조종했다. 기말고사 직전 학생들에게 쌍용 자동차 사태를 주제로 한 연극을 보도록 강권한 교사도 있었다. 부장교사 임명에도 전교조 교사가 아니면 추천을 배제하도록 사전 정지작업을 한다. 2014년 H고 K양이 교육감 선거일에 광화문에서 1인 시위를 했다. “청소년들에게도 교육감 투표권을 달라”는 주장을 하기 위한 것으로 전교조 교사들에 의해 조종된 시위였다. H고 교사들은 평소에도 “투표 가능 연령을 낮추자”고 주장해왔다. 아이들이 교사가 지지하는 정당의 교육감을 선출토록 하기 위한 목적이지 학생 인권은 허울 좋은 명분에 불과하다.

혁신학교 교사들은 ‘학교에서 아이들이 너무 행복해 한다’라고 주장한다. 공부 제대로 안하고 학생들이 하고 싶은 걸 다 허용하니 학생들이 행복한 게 당연하다. 하지만 정작 자신의 아이들을 혁신고등학교에 보내는 교사를 본적이 없다. ‘공부를 잘 하지 않아도 얼마든지 잘 살 수 있다’라고 학생들에게 교육하면서 자신의 자녀는 명문대를 보내기 위해 삼수까지 시키는 전교조 부장교사도 봤다. 교육은 우는 아이에게 사탕을 주어 순간의 만족을 주는 게 아니고 오히려 참는 법을 가르쳐야 한다. 혁신학교에 주는 예산 중 많은 금액이 아이들 간식비로 지출된다. 처음에는 기뻐하던 아이들도 계속 제공되는 간식을 버리는 일까지 생긴다. 전교생에게 매년 에코백을 사서 주기도 했다. 혁신학교는 전교조의 사상을 강요하고, 동조하지 않으면 철저하게 배척하는 곳이라 일반교사가 설자리가 없다. 신규 교사 중에 전교조에 가입하는 교사들이 대폭 감소했다. 전교조가 합법화된 이후 기득권이 되면서 교사들로부터 외면 받는 탓이다. 전교조 교사의 기득권을 더 공고히 하려는 수작에 불과한 혁신학교의 확대를 막아야 하는 이유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