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월간 글마루에서 연재한 ‘다시 보는 백제사’ 시리즈를 천지일보 온라인을 통해 선보입니다. 우리의 역사를 알고 더욱 깊이 이해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과거 연재시기와 현재 노출되는 기사의 계절, 시간 상 시점이 다소 다른 점을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글 이재준 역사연구가·칼럼니스트 사진 글마루

이성산에서 수습한 토기와편
이성산에서 수습한 토기와편

처음 축조는 백제

이성산성의 초축 시기는 언제일까. 이 성을 꾸준히 조사한 한양대 박물관의 조사보고서에는 비교적 소상하게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성벽의 축조방법은 주로 내탁법을 사용하였으며 남쪽의 계곡을 가로지르는 부분과 서쪽의 일부는 내외 협축하였다. 북벽은 내탁법으로 축조하였는데 현재는 무너져서 30도의 경사각을 유지하고 있다.

이 초축벽은 이미 확인된 외벽보다 1.3m 안쪽에서 발견되었는데 장방형의 석재를 거의 90도에 가깝게 축조하였으며 현재 4~5단 정도 노출되었다. 남벽에서는 배수구가 확인되었는데, 양 측벽의 3~4단을 약간 기울여 쌓았으며 바닥은 치석(治石)한 판석을 계단식으로 쌓고 판석으로 덮었다. 성벽에는 4개의 문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북·서남·동·남쪽에 문지로 보이는 곳이 있는데, 이 중에 남문이 정문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개구부의 너비는 5m나 된다. 고구려 성벽의 특징을 보여주는 치(雉)는 10개소 정도로 조사됐다.

각 치에는 각 루(樓)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여장(女牆)의 흔적이 확인되었는데, 북벽에서 회곽(廻廓)도로보다 1m 정도 높게 1.5m 두께로 석축이 잔존하고 있었다. 고구려가 이 성을 빼앗아 보축했음을 알려준다.

이성산성 출토 기와 토기

이성산성 안에서는 여러 시대의 다양한 유물이 찾아졌다. 토기류는 약 500점으로, 고배(高杯), 고배합(高杯盒), 합(盒), 개배(蓋杯), 완(盌), 단경호(短頸壺), 장경호(長頸壺), 병(甁), 도호(陶壺) 등 다양하다. 백제 시기부터 고구려~통일신라~고려~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신라 토기류가 가장 많이 발견되고 있다.

출토유물의 대부분은 와류와 토기류이며 금속류와 석기류도 몇 점씩 출토되었다. 건물에 사용되었던 기와는 회청색 또는 적갈색을 띠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평기와의 무늬는 삼국시대 특징인 격자문, 사격자문, 선조문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격자문의 경우 고구려 유적에서 다수 찾아지는 기와와 흡사하다. 고구려가 이성산성을 점령한 후 대대적으로 번와(飜瓦)했음을 알려준다. 그 외에 후대의 당초문(唐草紋)과 수지문(樹枝紋)도 보이고 있다.

글마루 조사단은 기와 무더기에서 이른 시기의 백제 연질 토기편 우각형 파수, 연질 선조문 와편과 고구려계인 방격자, 사격자 무늬의 적색 와편을 발견할 수 있었다. 우각형 파수는 동문지 주변에서 수습되었으며 일대에서 다수의 백제 고식의 연질 토기편이 수습되었다. 이는 백제 이른 시기부터 이곳에 위례성 사람들이 주거하였음을 알려준다.

이성산성에 있는 장방형 건물지
이성산성에 있는 장방형 건물지

무더기로 나온 백제 초기 석실묘군

지난 2016년 12월 하남시 감일지구(170만㎡)에서 초기 백제 위례성 시기 것으로 추정되는 석실묘가 무더기로 발굴됐다. 속칭 지하궁전이라고 불리는 석실묘는 땅속에 묘광을 판 후 돌을 이용하여 무덤방을 만든 다음, 입구를 만든 유형이다. 4~5세기로 추정되는 백제 석실묘는 모두 30여 개나 된다. 앞으로도 추가 유적이 발견될 소지가 있다. 이를 보면 하남시 일대는 고대 유적의 보고가 아닐 수 없다. 도시개발로 많이 파괴되거나 아직도 땅속에서 햇빛을 볼 날을 기다리고 있는지 모른다.

석실묘 무덤 양식은 고대 동아시아 여러 나라 유적에서 확인되는데, 특히 우리나라 삼국시대 여러 영역에서 확인된 묘제이다. 3·4세기 고구려와 백제, 5세기 말 혹은 6세기 무렵 신라와 가야지역까지 전파되었다. 조사단의 보고서에 따르면 무덤은 B4블록(4만 433㎡)의 약 4분의 1, 상업용지(2만 5924㎡)의 약 3분의 1면적에 넓게 분포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발굴된 고분 가운데 2기는 보존상태가 양호해 학술적 가치가 높다. 발굴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고려문화재연구원은 현재 발견된 무덤 7기에 대한 조사 결과 백제 한성기시대로 추정되고 있다고 해석했다.

향후 이 유적들은 백제 초기 하남 위례성을 입증할 수 있는 결정적 자료가 될지도 모른다. 그래서 보존 대책이 절실하다. 이와 더불어 교산 춘궁동 일대 일자산, 금암산 일대의 고분조사도 병행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하남 감일지구 석실묘
하남 감일지구 석실묘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