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은 6일(현지시간) 핵합의 이행 수준을 축소하는 4단계 조처로 포르도 지하시설에서 우라늄 농축을 재개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이란 국영 TV에 보도된 나탄즈 우라늄 농축시설에 배치된 원심분리기. (출처: 뉴시스)
이란은 6일(현지시간) 핵합의 이행 수준을 축소하는 4단계 조처로 포르도 지하시설에서 우라늄 농축을 재개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이란 국영 TV에 보도된 나탄즈 우라늄 농축시설에 배치된 원심분리기. (출처: 뉴시스)

[천지일보=이솜 기자] 이란이 우라늄 농축을 재개하면서 이란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가 결국 깨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고개를 들고 있다.

미국이 탈퇴한 이후 합의 유지의 최후 보루 역할을 해온 유럽이 이란의 포르도 지하시설 가동을 용인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는 불만을 내비치고 있다.

7일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중국을 국빈 방문 중인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전날 중국에서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이란의 포르도 시설 가동 때문에 핵합의 붕괴 위험이 커졌다고 지적했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미국과 이란 사이에서 중재 노력을 기울여온 마크롱 대통령은 “이란이 처음으로 명시적이고 노골적인 방법으로 협정 탈퇴를 결정했다고 생각한다”며 “이는 상당한 변화를 예고한다”고 말했다.

영국과 같은 유럽의 주요 의사결정국들이 결국 핵 합의 파기와 국제사회의 대(對)이란 제재로 이어질 수 있는 ‘분쟁 매커니즘’을 가동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WSJ는 분석했다. WSJ은 실제 이란이 어떤 수위로 핵합의에서 물러났을 때 분쟁 메커니즘을 가동해야 할지를 유럽 핵심국가들이 최근 몇 주 사이에 논의했다고 외교관들을 인용해 전했다.

다만 프랑스는 여전히 이란과 외교적으로 이 문제를 풀 수 있도록 시간을 가져야 한다고 핵 합의에 서명한 다른 유럽국가들을 설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란은 미국의 일방적인 핵 합의 파기에 대응하겠다며 올해 5월부터 60일 간격으로 핵 합의 이행범위를 단계적으로 축소해왔으며, 포르도 시설 재가동은 4번째 조처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