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호익 동북아공동체ICT포럼회장/한국디지털융합진흥원장 

 

2000년대 초반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만들어진 웹툰이 급성장 하면서 전 세계 곳곳에서 새로운 한류를 이끌고 있다. 웹툰은 인터넷을 통해 연재하고 배포하는 만화로 웹(web)과 카툰(cartoon)의 합성어이다. 웹툰의 국제화로 이제 웹툰은 게임, K팝에 이어 새로운 한류 콘텐츠로 인기를 끌고 있다. 웹툰은 원소스 멀티유즈(OSMU)의 대표 콘텐츠다. 인기를 얻은 웹툰 작품들의 지식재산권(IP)은 드라마나 영화, 게임과 애니메이션 등으로 새롭게 태어나면서 인기를 얻고 있다.

우리나라 대표 플랫폼 회사인 네이버와 카카오가 활발하게 투자를 하면서 이 시장의 성장을 이끌고 있다. 투자도 늘어나면서 작품의 수도 많아졌고 웹툰 작가 수만 해도 수만명에 이른다. 세계 디지털 만화 시장에서 한국 웹툰은 명실상부한 세계 최고다. 한국 웹툰은 수익은 물론 방문자 수에서도 세계 1위로 한국, 미국, 일본 등 대부분 국가에서 1위다. 서구권 시장에서도 1위 사업자 위치에 올랐다.

네이버 웹툰은 2014년 7월 해외에 진출한지 5년만에 구글플레이 만화 분야 수익 기준으로 전 세계 100개 이상의 국가에서 1위를 기록했다. 월간순방문자(MAU)는 6000만명, 일일순방문자(DAU)는 1550만명에 달한다. 지난 2년간 미국 라인 웹툰의 MAU는 연평균 71%, 일본 라인 망가의 MAU는 연평균 32%의 증가율을 보였다. 네이버 웹툰은 올해 글로벌 매출 6000억원을 목표로 잡는 등 향후 디즈니와 같은 종합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성장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네이버 웹툰도 올 2분기 콘텐츠 거래액이 전년 동기 대비 81% 증가했다.

카카오페이지의 웹툰 ‘김비서가 왜 그럴까’는 하루 만에 100만명이 보는 엄청난 흥행 기록을 세웠다. 현재 카카오페이지에서는 1300개 이상의 콘텐츠 공급자들이 제공한 6만개 이상의 누적 콘텐츠가 소비되고 있다. 이용자들의 하루 평균 조회수가 약 4000만회에 달한다.

우리 웹툰의 성공은 유료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 모델을 혁신하고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시대에 최적화했으며 각 나라에 맞춘 현지화 전략 때문이다. 또한 대부분의 플랫폼 기업들은 콘텐츠를 무료로 서비스하고, 많은 이용자를 확보해 광고로 수익을 추구하는 사업 모델을 택하고 있다. 그러나 카카오 페이지와 네이버 웹툰은 유료 콘텐츠를 팔아서 수익화를 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했다.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가격 차별화 전략을 쓴다. 콘텐츠 플랫폼은 기존의 콘텐츠를 쪼개고 붙여 다양한 버전과 번들 상품을 만들어서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기업의 수익을 극대화하고 있다.

웹툰의 잠재 시장도 무궁무진하다. 이제 웹툰은 청소년뿐만 아니라 남녀노소가 즐기는 미래 먹거리 산업이다. 국내 웹툰 시장 규모는 2020년 1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가들은 세계 시장도 가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

네이버 웹툰의 김 준구 대표는 “글로벌 웹툰 시장을 점령한 후 영상 미디어 시장에서 위치를 차지한다면 아시아의 디즈니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또한 “양질의 IP을 바탕으로 웹툰이라는 플랫폼이 전 세계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갖게 하면, 너끈히 아시아의 디즈니로 거듭날 수 있다”고 했다.

우리 정부도 수출 효자 산업인 게임, 우리 문화 전파의 메신저인 K팝에 이어 웹툰을 대한민국을 알리는 새로운 한류산업으로 키워야 한다. 또한 웹툰은 또 다른 한류의 진원지가 될 모든 조건을 갖췄다. 우리 웹툰 기업이 디즈니 못지않은 엔터테인먼트 세계 기업으로 도약하기를 기대해 본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