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격 유형별 사이버 공격 시도 현황. (출처: 외교부 제출자료) ⓒ천지일보 2019.10.15
공격 유형별 사이버 공격 시도 현황. (출처: 외교부 제출자료) ⓒ천지일보 2019.10.15

[천지일보=명승일 기자] 자유한국당 원유철 의원(평택갑, 외통위)이 13일 외교부에 대한 사이버 공격은 외교부가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2년 이래 2019년 7월까지 8년간 총 6만 건에 달한다고 밝혔다. 특히 서버정보 유출과 수집시도는 2012년 33건에서 2019년 7월 2197건으로 8년간 67배나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유철 의원실이 외교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의하면, 외교부에 대한 사이버 공격은 최근 8년간 총 약 5만 9909건에 달한다. 지난 2012년 2381건, 2013년 5526건, 2014년 5171건, 2015년 9029건, 2016년 8482건, 2017년 1만 4190건, 2018년 9877건, 2019년 7월 5253건이다.

원 의원은 “이처럼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는 외교부에 대한 사이버 공격 추이가 문제되는 이유는 외교부는 북핵문제와 관련한 고급정보를 갖고 있는 대표적 부서이기 때문”이라며 “실제로 최근 미국 재무부는 지난 9월 15일 북한 3개 해킹그룹에 대해 제재를 단행했고, 그중 한 해킹그룹은 우리나라 국방부를 해킹한 전력이 있다”고 했다.

공격유형별로는 서버정보 유출과 수집시도가 2012년 33건에서 2019년 7월 2197건으로 8년 간 67배나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비스 거부는 2012년 1345건에서 2019년 7월 7건으로 대폭 줄었다.

이 밖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공격유형인 메일계정 탈취시도 및 해킹메일 수신은 2012년에는 302건이었으나, 2019년 7월에는 1307건으로 4배 이상, 홈페이지 해킹시도는 2012년에는 283건이었으나 2019년 7월에는 1445건으로 5배 이상 증가했다.

원 의원은 “다양한 공격유형 중 특히 외교부 서버정보에 대한 사이버 공격 폭증이 위험한 이유는 만약 서버정보에 대해 피해가 발생할 경우 이는 대량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라고 했다.

서비스거부(디도스) 공격은 엄청난 동시 접속자의 동시 접속으로 인해 서버 과부하를 유발하는 공격을 말하는데, 이로 인해 서버가 정지되는 것은 전력망 등에서 치명적인 반면 외교부 기밀은 서버 ‘정보’를 통해 대량으로 유출될 수 있어 보다 치명적일 수 있다고 원 의원은 지적했다.

실제 국방부에서는 서버공격을 당해 3000여개 호스트가 감염됐던 사례가 2016년 8월 발생한 적이 있다. 세계적 수준의 북 정찰총국 사이버공격은 북미 정상회담 및 실무회담이 한창인 지금의 외교부를 정조준 할 가능성은 얼마든지 열려 있다.

원 의원은 “북핵 폐기를 위한 북미 정상회담 및 실무회담이 한창인데 북한 등이 회담정보를 대규모로 유출하기 위해 외교부 서버를 사이버 공격할 우려가 크다”며 “북한의 해킹실력이 세계적인 만큼, 외교부는 국가기밀을 많이 다루는 부서로서 서버정보를 비롯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사이버 공격 대비에 만전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