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미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이 16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비엔나 IAEA 본부에서 열린 제63차 IAEA 정기총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9.9.17
문미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이 16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비엔나 IAEA 본부에서 열린 제63차 IAEA 정기총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9.9.17

韓 “日 오염수 방류 공동 대응” 촉구

日 “삼중수소 외 정화” 주장

삼중수소, 태아 기형 등 유발

[천지일보=손성환 기자] 한국 정부가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를 우려하며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현장조사를 촉구했다.

16일 오스트리아 비엔나 IAEA 본부에서 열린 제63차 정기총회에서 문미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원전 오염수 처리 문제의 해답을 찾지 못하고 막연한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면서 “일본 정부 고위 관료가 원전 오염수 처리방안으로 해양 방류의 불가피성을 언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문 차관은 “원전 오염수를 해양에 방류하면 전 지구적 해양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대한 이슈로 IAEA와 회원국의 공동 역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일본 원자로 상태와 오염수 현황에 대한 현장조사를 제안했다.

문 차관은 일본의 원자로 상태와 오염수 현황 등에 대한 현장조사, 환경 생태계에 대한 영향 평가를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실시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한국은 일본과 직접 바다를 맞대고 있고 중국, 러시아 등도 마찬가지 입장이라며, 임의로 현장조사를 할 수 없는 만큼 국제기구 차원에서 나서야 한다고 문 1차관은 설명했다.

일본은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타케모토 나오카즈 일본 과학기술상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대해 “일부 국가에서 비과학적인 주장을 펼치고 있다. 후쿠시마 재건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고 주장했다.

타케모토 과학기술상은 “일본은 해안가와 바다 환경에 신경을 쓰고 있다”며 “방사능 오염수는 정화 과정을 거쳐 삼중수소 외 방사능 물질은 검출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하지만 삼중수소는 방사성 물질의 하나이며, 산모가 여기에 노출될 경우 태아 기형을 유발할 수 있다.

앞서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는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가 바다 오염과 인체에 유해하지 않다고 억지 주장을 펼친 바 있다.

문 차관은 “IAEA가 후쿠시마 원전 사고 시 일본과 함께 적극적 역할을 해왔듯이, 오염수 처리 문제에도 나서야 한다”며 “가장 중요한 것은 건강과 안전, 환경 보호를 위한 일본 측의 실질적이고 투명한 조치와 행동”이라고 강조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