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행정법원. (출처: 서울행정법원 홈페이지)
서울행정법원. (출처: 서울행정법원 홈페이지)

[천지일보=김빛이나 기자] 업무 관계자와 술을 마시고 난 뒤 사망했더라도 업무상 마련된 술자리라는 명확한 근거가 없다면 업무상 재해로 보기 어렵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다.

13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행정법원 행정3부(박성규 부장판사)는 모 기업체 영업부장인 A씨의 유족이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유족 급여 및 장의비 부지급 처분을 취소하라”며 제기한 소송에서 원고 청구를 모두 기각했다.

A씨는 지난 2015년 2월 중국 지사로 발령받아 근무했고, 그해 8월 업무관계자 B씨 및 B씨의 지인과 술을 마신 뒤 사망했다. 사건 후 중국 당국의 혈액검사에서 A씨의 혈중알코올농도는 치사량인 0.4%에 가까운 0.369%였다.

유족은 A씨가 중국 출장 중 스트레스와 불규칙한 상시 근무, 과중한 업무 등으로 피로와 스트레스가 누적됐으며, 업무 관계자와 업무수행차 한 술자리에서의 음주로 질병이 유발되거나 기존 질병이 급속히 악화해 사망했으니 ‘업무상 재해’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법원은 “A씨의 사망은 다량의 알코올 섭취로 인한 급속 알코올중독 때문”이라며 “술자리가 업무수행 목적이었다고 보기도 어렵다”고 판단했다.

그러면서 재판부는 “B씨의 지인은 망인과 업무상 관계에 있는 사람이라고 인정할 수 없고, 술자리가 토요일 저녁시간에 이뤄졌다”며 “음주 후 일행이 함께 발 마사지 가게로 이동한 점 등을 고려하면 술자리가 업무상 이유로 이뤄졌다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어 “술자리에서 망인의 의사에 반해 다량의 음주가 이뤄졌거나 강요되는 분위기는 아니었다”면서 “B씨는 업무상 관계자는 맞으나 당시 망인과 B씨가 공사 계약을 체결하는 등의 상황은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재판부는 A씨가 업무상 과로 또는 스트레스로 심장질환이 유발해 사망했다는 유족 측의 주장도 받아들이지 않았다.

재판부는 “원고들이 산정한 망인의 근무시간은 사망 전 1주 동안 88시간 38분, 사망 전 12주 동안 1주 평균 55시간 28분에 달했다”며 “하지만 구체적인 근거나 객관적인 자료가 없다”고 했다.

이어 “망인의 업무량이 실제로 적지 않았고, 근무환경 변화 등으로 어느 정도 스트레스를 받았을 것으로 보이는 사정들을 종합해도 동종 업무를 담당하는 근로자들에 비해 망인의 업무상 과로나 스트레스가 심장혈관의 정상적인 기능에 뚜렷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정도라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