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대학노동조합 경희학원지부가 경희대학교와 학내의 자회사·용역회사 소속과 계약직으로 종사하는 400여명을 대상으로 한 정규직화를 위한 노사합의를 이루고 이를 기념하며 사진촬영을 하고 있다. (제공: 경희대학교) ⓒ천지일보
민주노총 대학노동조합 경희학원지부가 경희대학교와 학내의 자회사·용역회사 소속과 계약직으로 종사하는 400여명을 대상으로 한 정규직화를 위한 노사합의를 이룬 것을 기념하며 사진촬영을 하고 있다. (제공: 경희대학교) ⓒ천지일보

자주적 노사합의로 경희대 정규직화 시행

[천지일보=김빛이나] 민주노총 대학노동조합 경희학원지부(노조)가 경희대학교와 학내의 자회사·용역회사 소속과 계약직으로 종사하는 400여명을 대상으로 한 정규직화를 위한 노사합의를 이룬 것을 기념했다고 3일 밝혔다.

앞서 지난해 9월부터 노조는 경희대에 불법파견 문제와 용역노동자의 정규직화를 요구하며 3개월여 가까이 천막농성을 전개했다.

대학은 노조의 요구를 면밀하게 검토한 결과 현 경희학원 이사장(당시 조인원 대학총장)의 직접 서명으로 학내의 자회사 및 용역회사 소속 그리고 계약직으로 종사하는 400여명을 대상으로 한 정규직화를 위한 노사합의에 이르게 됐다.

노사합의 이후 1년여 만인 지난 1일 경희대학교는 공식 인사발령을 통해 학내의 간접고용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했다. 이는 대학부문에서는 ‘자주적 노사합의’를 통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의 첫 사례다.

노조에 따르면 지난 2015년부터 진행했던 외부의 ‘사다리포럼’ 내부의 ‘비정규직 없는 경희대만들기 위원회’의 3년이 넘는 논의과정을 통해 오해와 난관을 하나씩 극복해 왔다.

2017년 경희대 서울캠퍼스에서는 대학이 직접 투자해 ‘자회사(케이에코텍)’를 설립해 기존의 용역회사 청소노동자들을 받아들이고 직접고용 정규직화의 발판 역할을 하도록 했다.

용역노동자의 정규직화는 대학에서 용역회사로 지급해 왔던 약 30%에 가까운 부가가치세와 간접비를 절감해 해당 노동자들의 임금과 복지향상을 위한 비용으로 전환할 수 있는 메리트가 있었다.

정규직으로 고용전환된 대상자들은 기존 정규직과 임금체계는 다르지만 단체협약에 정한 ‘의료비 지원, 학자금, 출산, 육아 등’에 있어 동일한 복지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노조는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의 의미는 새로운 것을 만들거나, 시혜를 베푸는 일이 아니며 그 동안 고착된 비정상적 고용관행을 제자리로 돌려놓는 일”이라며 “대학의 가장 낮은 그늘에 놓였던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대학공동체의 당당한 구성원으로 자리매김하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하지만 아직도 경희대에는 근로기준법과 4대 보험 조차 적용받지 못하는 국제교육원 한국어강사, 그리고 2년 기간제 사무계약직 노동자들이 있다”며 “다시 한 번 ‘경희대 공동체’는 힘과 지혜를 모아 이 언덕을 넘을 것”이라고 밝혔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