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와 일.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육아와 일.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저출생 고령화 빅데이터 분석

“취업 안 돼 출산 꺼리는 듯”

[천지일보=김빛이나 기자] 국민이 생각하는 저출산의 가장 큰 원인은 ‘일자리’와 ‘교육비’에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출산 여성에 대한 직장 내 차별이나 경력단절 등의 문제도 저출산의 원인으로 지목됐다.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은 지난 2017년 7월부터 지난 6월까지 SNS 게시물 31만여건을 바탕으로 ‘저출생 고령화’에 대한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저출생의 원인’과 관련한 빅데이터 연관어는 ‘일자리’ ‘교육(비)’ 등 경제적 요인과 관련한 키워드의 언급량이 많았다. 또한 ‘일자리’에 대한 연관어로는 ‘맞벌이’ ‘월급’ ‘청년실업’이 상위에 속했다.

이를 두고 맞벌이가 불가피하지만 취업이 잘 되지 않고 있어 출산을 꺼리고 있는 상황이 반영된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출산을 고민하는 사람들의 가장 큰 고민은 ‘교육비’였다. 그 다음으로는 ‘주거비’가 높게 나타났다.

저출산 원인과 관련해 ‘직장(문제)’ 등 사회적인 요인과 관련한 핵심어 언급량도 많았다. ‘직장’과 관련한 연관어로는 ‘차별’ ‘경력단절’ 등이 나왔고, 이에 사람들이 직장 내 차별이나 여성의 경력단절을 출산의 걸림돌로 인식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정부의 저출산 정책과 관련해서는 돌봄 서비스 지원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양육비 지원이나 일·가정 양립, 출산·임신 의료비 지원에도 관심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육아.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육아.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돌봄 분야에서는 국·공립 어린이집 확대 등 보육 공공성 강화 대책에 대한 관심이 높았고, 양육비 부담완화 분야의 최대 관심사는 아동수당으로 조사됐다.

일·가정 양립 분야에서는 육아휴직 지원금 인상에 대한 관심이 높았고, 출산·임신 의료비 지원 분야에서는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정책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았다.

국민은 저출산 문제만 아니라 ‘정년 65세 연장’과 ‘가족 형태’에 대한 관심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정책과 관련한 인식 분석 결과 ‘정년 연장’과 관련해서는 고령사회 진입에 따라 논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흐름 속에서 기업의 고임금 부담과 청년 세대와의 일자리 갈등이 우려 요인으로 꼽혔다.

‘가족 형태’와 관련해선 ‘1인 가구’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았다. ‘2인 가구’에 대한 관심도 상승 추세를 보였다. 1·2인 가구는 ‘돌봄’ 문제를, 한부모·미혼모 가구는 ‘양육’ 문제를, 다문화 가구는 ‘차별’ 문제를 각각 고민거리로 꼽았다.

‘고령화 문제’와 관련해선 ‘일자리’와 관련된 핵심어 언급이 많았다. 관련 사항으로는 주로 은퇴 후 소득이 없어 생활비나 의료비 등을 충당하기 어려운 상황에 대한 우려가 나타났다.

고령화 시대의 문제로는 ‘건강’과 ‘독거노인’도 많이 언급됐다. ‘건강문제’와 관련해선 의료비 지원이, ‘독거노인 문제’와 관련해선 돌봄 서비스 확충 필요성이 많이 거론됐다.

고령화 정책 분야에서는 일자리, 돌봄, 연금 순으로 관심이 높게 나타났다. 고령화 대책 중에선 노인 일자리 분야의 ‘양질의 일자리 확대’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건강 분야’에서는 건강관리 서비스와 치매 관리 서비스가 최대 관심사였다. ‘연금 분야’에서는 기초연금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았다.

한편 문체부 국민소통실은 SNS 게시물을 통해 여론을 파악하고,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지난 2013년부터 여론 거대자료를 분석하고 있다. 국민소통실 관계자는 “정부 혁신의 일환으로 앞으로도 정책 관련 여론 거대자료를 꾸준히 분석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정책을 추진하고 소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