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미국 정상이 극적인 ‘판문점 회동’을 가져 관계가 개선된 것과 달리 미국과 이란의 갈등은 격화되고 있다.  지난달 30일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을 만나 발언을 듣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출처: 뉴시스)
북한과 미국 정상이 극적인 ‘판문점 회동’을 가져 관계가 개선된 것과 달리 미국과 이란의 갈등은 격화되고 있다. 지난달 30일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을 만나 발언을 듣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출처: 뉴시스)

[천지일보=이솜 기자] 북한과 미국 정상이 지난달 30일 극적인 ‘판문점 회동’을 가져 관계가 개선된 것과 달리 미국과 이란의 갈등은 격화되고 있다. 1일 이란이 핵합의(JCPOA, 포괄적공동행동계획)로 제한한 저농축 우라늄의 한도를 초과했다고 발표하면서 사태는 더 악화할 전망이다.

지난해 5월 8일 핵합의를 일방적으로 탈퇴한 미국은 핵합의 이전 수준으로 대이란 제재를 복원하고 수차례 추가 제재까지 부과했다. 또 지난달 항공모함 전단, 폭격기 편대를 걸프 해역에 배치하며 군사 위력 시위로 이란을 겨냥했다.

그러면서 미국은 이란에 협상장으로 나오라고 제안했지만, 핵프로그램과 탄도미사일 개발 사실상 포기, 역내 무장조직 지원 중단, 이스라엘 위협 중단 등 이란이 응하기 어려운 선행 조건을 내걸었다.

이런 와중에 오만해 유조선 피격(5월12일, 6월13일), 미군 무인 정찰기 격추(6월20일) 등 중동 정세를 뒤흔든 사건이 잇따라 터졌고 미국은 이들 사건의 배후를 이란으로 특정했다.

이에 맞선 이란은 미국의 핵합의 탈퇴 1주년을 맞은 지난달 8일 1년간의 ‘전략적 인내’를 끝낸다면서 핵합의 이행 범위를 일부 축소하겠다고 선언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핵합의로 제한한 저농축(3.67%) 우라늄(LEU)과 중수의 저장한도를 넘기겠다고 예고한 이란은 1일 LEU의 저장한도(육불화우라늄 기준 300㎏)를 초과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현재 이란의 핵물질 저장한도 초과는 위험성이 낮은 수준이다. 그러나 오는 6일까지 유럽이 이란의 요구 원유 수입을 재개하지 않으면 2단계 조처를 시작한다고 경고했다.

2단계 조처에는 LEU의 농축도 상향, 무기급 플루토늄을 생산할 수 있도록 아라크 중수로 현대화 중단 등 핵무기 개발의 ‘신호탄’이라고 볼 수 있는 조처가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

미국과 이란이 군사적으로 충돌할 가능성은 아직 낮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전망이지만, 여전히 돌파구를 찾을 기미나 계기도 보이지 않는 상태다.

오만, 카타르, 이라크 등이 중재자로 나섰다고는 하지만 이란을 바라보는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 내부의 일치된 적대가 워낙 큰 데다 이스라엘,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등 중동 주요국가도 강경한 입장이다.

미국과 이란을 협상 테이블에 불러 앉힐 어떤 정치적 변수나 양국 지도부의 의지, 주변국의 적극적 움직임도 사실상 전무한 상황인 것이다.

이란이 시리아 내전, 예멘 전쟁 등 중동 내 최대 현안과 이라크, 레바논 등 주변국에 대한 영향력이 큰 만큼 미국과 이란의 대치가 거칠어질수록 중동 전체에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1일 이란의 LEU 저장 한도 초과 소식이 나오자 “이란은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 것”이라면서 “불장난을 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