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여성임금근로자 중 41.5% ‘비정규직’

[천지일보=김빛이나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여성노동자의 월평균 임금은 245만원으로 남성의 69%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 임금근로자 41.5%가 ‘비정규직’이었고, 이들 중 절반은 시간제 근로자인 것으로 조사됐다.

여성가족부와 통계청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19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자료를 1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작년 상용노동자 5인 이상 사업체 여성노동자의 월평균 임금은 244만 9000원으로, 229만 8000원이었던 전년대비 15만 1000원 증가했다. 이는 남성임금을 100%로 놓고 비교해볼 때 68.8% 수준이다.

남성 대비 여성임금은 지난 2015년 65.9%를 저점으로 2016년 67.0%, 2017년 67.2% 등 상대적으로 올라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7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평균근속연수도 여성이 4.9년으로 남성보다 2.5년 짧았고, 월 노동시간은 160.1시간으로 남성보다 11.9시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8월을 기준으로 여성 임금근로자 887만 4000명 중 비정규직 근로자는 367만 8000명(41.5%)으로 조사됐다.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 비중은 여성이 남성(26.3%)보다 15.2%p나 높았다. 2014년 39.9%를 기록한 이후 여성 비정규직 근로자 비중은 4년째 상승하고 있다.

여성 비정규직 근로자 중에서 절반이 넘는 197만 1000명(53.6%)은 시간제였다. 반면 남성 비정규직 근로자 중 시간제 비중은 25.1%에 그쳐 여성과 큰 차이를 보였다. 비정규직 중 시간제 근로자 구성비의 남녀차이는 28.5%p로 지난 2015년 이후 지속해서 벌어지고 있다고 통계청은 밝혔다.

여성 고용률은 결혼·임신·육아 등에 따른 경력 단절의 영향으로 인해 전 연령대 가운데 30대에서 일시적으로 하락하는 ‘M자형’ 추이를 보이고 있다. 다만 30∼34세 고용률이 10년 전과 비교 시 51.9%에서 62.5%로 10.6%p 오르는 등 일부 상황이 개선되기도 했다.

작년 5월을 기준으로 여성 청년층이 첫 직장을 떠난 사유는 ‘근로 여건 불만족’이 52.8%로 가장 높았다. 이어 ‘개인·가족적 이유(15.9%)’, ‘계약 기간 만료(12.0%)’ 등 순으로 조사됐다.

작년 공공기관과 대규모 민간기업의 관리자 가운데 여성의 비율은 20.6%로 나타났다. 이는 10년 전인 2008년(12.5%)에 비해 8.1%p 상승한 것이다. 다만 여성의 비율은 2016년(20.1%), 2017년(20.4%) 등으로 3년째 20%선에 머물러 있다.

한편 행정부 소속 국가직 공무원 가운데 여성의 비율은 작년 50.6%를 기록해 지난 2017년에 이어 절반을 넘어섰다. 판사·검사 등 법조인 중 여성의 비율도 전년도 기록인 26.1%보다 상승해 28.7%를 차지했다. 의사·치과의사·한의사 중 여성의 비율은 전년대비 상승해 각각 26.0%, 27.3%, 21.9%를 기록했다.

2018년 제7회 지방의회 의원 선거에서 당선된 의원 가운데 여성의 비율은 28.3%로 지난 2014년보다 5.4%p 증가했다. 작년 여학생의 대학진학률은 73.8%로, 남학생보다 7.9%p 높았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