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일 북한 선원 4명이 탄 어선이 연안에서 조업 중인 어민의 신고로 발견됐다는 정부 당국의 발표와 달리 삼척항에 정박했다고 KBS가 18일 보도했다. 사진은 북한 어선이 삼척항 내에 정박한 뒤 우리 주민과 대화하는 모습. (출처: KBS) 2019.6.19
지난 15일 북한 선원 4명이 탄 어선이 연안에서 조업 중인 어민의 신고로 발견됐다는 정부 당국의 발표와 달리 삼척항에 정박했다고 KBS가 18일 보도했다. 사진은 북한 어선이 삼척항 내에 정박한 뒤 우리 주민과 대화하는 모습. (출처: KBS) 2019.6.19

“9일 함경북도에서 출항 위장조업하며 12일 저녁 NLL 넘어”

“휴대전화 빌리려 한 것은 서울에 사는 이모와 통화하려고”

“우리 경비함 및 초계기 정상 활동해… 탐지는 제한적”

軍, 北선박 폐기했다고 발표한 것 번복해 “현재 보관중”

[천지일보=손성환 기자] 북한 어선 1척이 지난 15일 동해안으로 남하해 우리 항구에 정박하기까지 군 당국은 이를 인지하지 못했다는 비난이 일고 있는 가운데 군 당국은 “이 선박에 타고 있던 4명 모두 민간인으로 1차 확인했다”고 밝혔다.

19일 군에 따르면, 동해안에서 남하한 북한 선박은 지난 9일 함경북도에서 출항해 10일 동해 북방한계선(NLL)에서 위장조업을 하다가 12일 저녁 9시경 NLL을 넘었다.

이 선박은 13일 오전 6시경 울릉도 동방 30노티컬마일(55㎞) 해상에서 정지했고 오후 8시경 기상 악화로 표류했다. 북 선박은 육지를 향해 최단거리로 항해를 시작해 오후 9시경 삼척 동방 2~3노티컬마일(3.7~5.5㎞)에서 엔진을 끈 상태로 대기했다. 이는 야간에 해안으로 접근할 경우 우리 군의 대응 사격을 우려한 것으로 군은 분석했다.

북한 선박은 이어 15일 일출 이후 삼척항을 향해 출발했고 오전 6시 20분 삼척항 방파제 인근 부두에 접안했다. 오전 6시 50분경 산책을 나온 주민이 이를 보고 112로 신고를 했고 신고자가 차림새가 특이한 북한 선원을 보고 “어디서 왔나” 물었고 북한 주민들은 “북한에서 왔다”고 답했다.

북한 주민 1명은 “서울에 사는 이모와 통화하고 싶다”며 휴대전화를 빌려달라고 요구했다.

군은 “4명 중 1명은 최초부터 귀순 의도를 갖고 있었다고 진술했고, 나머지 2명은 본인들의 의사로 북한으로 송환됐다”고 밝혔다. 주민들의 복장은 1명은 인민복, 1명은 얼룩무늬 전투복, 2명은 작업복이었다고 군 당국은 설명했다.

북한 선박이 삼척항에 접근하는 동안 우리군 경비함이나 초계기가 제대로 활동 중이었는지에 대해서는 군은 “해상에는 경비함이 있었고 P-3C 초계기가 정상적으로 활동을 하고 있었다”고 답했다. 다만 소형 목선 선박을 탐지하는 데에는 제한이 있었다고 전했다.

군은 “해양수산청과 해경의 CC(폐쇄회로)TV 영상에도 (북한 선박이) 식별됐다”고 밝혔지만 남측 어선으로 판단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15일 오전 6시 15분경 삼척항 인근의 해안선 감시용 지능형 영상감시체계에 삼척항으로 들어오는 북한 선박 모습이 2회 촬영됐다.

군은 또한 북한 선박이 선장 동의로 폐기했다고 발표했지만 이를 번복해 현재 동해 1함대에 보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선박은 길이 10m, 폭 2.5m, 무게 1.8t의 크기로 28마력의 엔진을 탑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정경두 국방부 장관은 국방부 대회의실에서 열린 ‘2019 전반기 전군 주요지휘관회의’ 모두발언에서 이번 사태에 대해 “경계작전 실패”라며 “경계작전 실태를 되짚어보고 이 과정에서 책임져야 할 인원이 있다면 엄중하게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북한 선박이 삼척항 부두에 정박할 때까지 군과 해경은 인지하지 못했고 민간인의 신고가 없었다면 전혀 알지 못했던 상황으로 감시태세를 유지하지 못한 것에 대한 책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