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권택 감독의 영화 <서편제> 촬영지로 유명한 청산 돌담길의 돌담 모습 (사진제공: 완도군)

침입ㆍ방화ㆍ소음 등 예방하는 역할

[천지일보=박선혜 기자] 담장 넘어 뻗은 나무 가지는 흐뭇한 미소를 짓게 만드는 자연이 선물한 아름다운 작품이다. 가지가 걸쳐 아름다운 멋이 깃든 담장은 우리 삶 속에서 경계가 되어주고 보호막이 됐다.

담장보다는 ‘담’ 한글자로 더 익숙한 담은 예술ㆍ경계ㆍ보호ㆍ기원 등의 의미를 지니며 우리 조상들의 지혜와 멋을 엿볼 수 있게 하는 우리네 역사다.

담은 자신의 영토임을 확증하는 소유권 표시로 대지를 구분하는 경계선의 역할과 외부의 침입을 방지하는 역할, 외부로부터 방해되는 시선을 차단하고 방화ㆍ소음 등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울타리나 책(柵)보다 튼튼하게 만들어진 담은 재료와 환경ㆍ장소에 따라 토담 돌담 벽돌담 블록담 콘크리트담 등으로 구분된다. 토담과 돌담은 옛날부터 많이 쓰여 온 반면 벽돌담이나 블록ㆍ콘크리트담은 오늘날에 맞게 점차 발전된 형태로 볼 수 있다.

토담은 흙과 지푸라기, 석회 등을 섞은 것으로 그냥 쌓아 올리거나 돌을 넣어 쌓기도 했다. 지금은 사용도도 낮을 뿐더러 많이 찾아볼 수 없지만, 한국에는 질이 좋은 흙이 많이 나왔기 때문에 일반농가에서 많이 사용됐다.

시골에 가면 지금도 볼 수 있는 돌담은 돌을 쌓아 만든 담이다. 인력과 시간 투자가 많이 들지만, 외관이 순박하고 아름다우며 마모 및 풍화에 강해서 옛날부터 궁궐이나 중상류 계층의 담으로 많이 쓰였다.

옛날보다 오늘날 더 많이 쓰이는 벽돌담은 일반벽돌, 과소벽돌, 변색벽돌 등의 치장용 벽돌을 쌓아 만든 담으로, 기상 변화에도 잘 견뎌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벽돌담은 쌓는 방식이 간단한 장점이 있는 반면 풍압력, 지진력 등의 수평력에 약한 것이 결점이다.

그 외에 블록담은 가운데 구멍이 뚫린 콘크리트 블록을 쌓아 만든 담이며, 철근 콘크리트로 쌓아 내구성과 내화성에 강한 콘크리트담도 오늘날 널리 쓰이고 있다.

이처럼 사람들은 단단하고 강한 담을 쌓기 위해 강한 성질에 맞는 재료를 사용하면서 점차 발전된 담의 형태를 만들고, 오늘날도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게 됐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