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박수란 기자] 노후자금을 위해 모아둔 금융자산의 소진 예상 시기가 평균 82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발간한 ‘국내 국민연금 수급자의 은퇴생활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고령층은 적정시기에 노후자금 준비를 시작했지만 보유 금융자산 소진 예상 시기가 평균 82세로 100세 시대의 노후자금으로는 부족했다.

배우자가 생존 또는 자녀가 있는 고령층이 20·30대부터 노후자금을 준비한 비중은 싱글 고령층과 자녀가 없는 고령층보다 각각 10.5%p, 12.9%p 높게 나타나 부양가족이 많다는 심리적 부담감이 노후준비 시기를 앞당긴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노후저축시기가 상대적으로 더 빨랐던 노령가계라도 금융자산 소진 예상 시기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맞벌이의 경우 81세, 외벌이 82세, 배우자 생존 및 동거 82세, 싱글 81세, 자녀가 있는 경우 82세 없는 경우 76세로 조사됐다.

‘노후 용돈’이 된 국민연금 수급액은 50만원 미만에 그치고 있는 실정인데 국민연금 수급자의 현재 노후 생활비용은 월 평균 201만원으로 집계됐다. 국민연금 수급액이 노후 생활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5.3%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국민연금 수급자의 83.3%가 노령연금 수급자로, 이 중 75.7%가 50만원 미만의 급여를 수령하고 있다. 100만원 이상의 급여를 받고 있는 수급자는 5.3%에 불과했다. 국민연금이 노후보장을 위한 역할로는 부족한 실정이다.

게다가 대부분의 퇴직 고령자가 수입 감소로 생활수준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현역시기 상류층이었던 은퇴자의 81.3%가 중산층으로 이동했으며 6.3%가 저소득층으로 이동, 중산층의 경우 25.9%가 저소득층으로 이동했다. 다만 이 보고서는 소득계층 정의를 고령자 본인이 인식하는 소득계층을 기준으로 구분했다.

고령자들의 생활 소비수준이 현역시절 대비 50% 미만이라고 응답한 비중은 48.6%, 30% 미만이라고 응답한 비중은 15.8%였으며 현역시기와 비슷한 소비수준을 유지하는 비중은 0.6%에 불과했다.

노후에 발생할 의료비까지 고려하면 현재 충분한 노후자금을 마련하지 못한 고령 가계의 경우 필요한 생활비용을 충당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남은 은퇴생활을 위한 노후자금이 충분하다고 응답한 비중은 24.2%에 그쳤다. 특히 노후자금이 불충분하다고 응답한 비중이 중산층 이상 가계는 16.6%, 저소득층은 37.0%였다. 향후 자금원 보유 여부에 대해선 국민연금 수급자의 52.6%가 없다고 응답했으며 자년에게 부모부양을 기대하는 비중은 33.8%로 노후자금 마련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지 않았다.

퇴직 후 국민연금 수급자의 42.3%가 소득활동을 지속하고 있으며 소득활동 주된 이유로 47.3%가 생활비 마련이라고 답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