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호익 동북아공동체ICT포럼회장/한국디지털융합진흥원장

혁신 역량을 갖춘 인적자원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주도권 경쟁에서 승부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핵심 요소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청년실업률이 최악으로 치솟고 있지만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미래 산업 분야에서는 인력이 턱없이 부족하다. 파이터치연구원에 따르면 한국의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 인력은 전체 근로자의 21.6%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42.4%의 절반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같은 인력 부족은 기업과 국가의 미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어 걱정스럽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등에 따르면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빅데이터, 증강·가상현실, 반도체, 자율주행차, 수소차, 이차전지 등 8대 산업에서 2022년까지 부족한 인재는 4만 9800명에 달한다고 한다. AI를 포함한 소프트웨어 분야는 2022년까지 3만 2000여명이 부족한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자율주행차는 6400명, 수소차·이차전지는 1만명 이상이 부족할 것으로 추정된다. 반도체도 1400여명이 부족하다.

미래 산업분야 인력 부족을 겪는 이유는 산업이 팽창하고 있는데 적합한 인력은 한정돼 있고 그나마 인력도 해외로 유출되기 때문이다. 미래 인재를 대거 공급해야 할 대학이 시장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해 미래 산업을 리드할 이공계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다. 대학이 배출하는 인력과 일자리 간 미스매치가 큰 문제다. 하지만 대학들이 학과 이기주의에 매몰돼 비인기학과 통합·퇴출 등 대학 구조조정은 지지부진하고 수도권 정원 규제 때문에 융합형 인재 양성도 어렵다. 미국, 중국이 고액 연봉을 앞세워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인력의 싹쓸이도 우리 기업의 인력난을 부추기고 있다.

기업들은 인력부족 현상에 대응해 정기 공채를 폐지하고 상시 채용으로 전환하는 추세다. 정기 공채로는 적기에 인재를 충원하기 어렵다는 판단이다. 현대차는 상·하반기 정기 공채 제도를 폐지하고 수소차·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분야 연구 인력을 수시로 채용하기로 결정했다. 삼성전자·카카오·LG CNS도 AI 인력만큼은 상시 채용할 방침이다. 2020년까지 AI 인력 1000명을 선발하겠다고 공언한 삼성전자는 AI 전공 박사과정 학생을 대상으로 취업연계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청년SW아카데미를 개설해 소프트웨어 교육을 무료로 실시하고 월 100만원의 교육지원비를 지급한다. 성적 우수자에게는 삼성전자 해외 연구소에서 실습 기회를 부여한다.

과기정통부는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해나갈 핵심 인재 4만명을 2020년까지 육성할 계획이다. ‘이노베이션 아카데미’와 ‘인공지능 대학원’ 3개를 신설해 세계적 수준의 인재 양성을 추진하고 관련 업계에 즉시 투입 가능한 맞춤형 청년 인재 1400명과 SW 현장인력 3000명 등 실무형 인재도 양성한다. 그러나 지금의 대학 인재 육성 시스템으로 가능할지 의문이다.

제4차 산업혁명 구현을 위해선 우수한 핵심 인재 확보가 우선 과제다. 대학에서 기초학문 연구도 필요하지만 극심한 청년 실업을 고려할 때 시대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키우는 방향으로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 기업도 대학과의 연계해서 인재 확보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키워드는 연결·융합·지능화이다. 5G,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이 상호 연결·융합되고 지능화 될 뿐만 아니라 경제·사회·인문학과 예술 등 전 분야와 융합돼 혁신과 가치를 만들어낸다. 지금의 문·이과와 과목별 칸막이 교육은 시대착오적이며 이런 장벽으론 4차 산업혁명에 필요한 융합형 미래 인재를 키워낼 수 없다. 학과의 통폐합은 물론 문·이과 통합이 시급하다.

정부는 기업이 필요로 하는 분야에 연구개발(R&D) 예산을 집중 배정해야 하며 국내 우수 인재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 마련도 필요하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