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이 개성공단에 쏠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묻고 싶다. 정부는 어떤 대책이 있는지. 연평도 피격 사건으로 지난달 512명이었던 개성공단 주재 인력은 404명까지 줄어들었고, 물자가 없어 당장에 공장 문을 닫을 판이다.

일단 정치권에서는 개성공단 주재 인력을 염두에 두고 있기는 한 것 같다. 한나라당 안상수 대표는 지난달 29일 “북한이 연평도 해안포 공격에 이어 한 번 더 도발한다면 개성공단 입주 기업들을 철수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 손학규 대표도 같은 날 개성공단 입주기업 대표 등을 만나 연평도 포격사태 이후 개성공단 운영 방안 등에 대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손 대표는 “한반도가 새로운 분쟁지역이 되는 상황을 아주 안타깝게 생각한다”면서 “개성공단에 있는 입주회사의 직원들과 우리 국민이 위협을 당하지 않을까 걱정이 많았다”고 전했다.

이 같은 정치권의 우려에도 ‘먹고 사는 문제’가 달린 개성공단 입주기업 관계자들에게 ‘무조건 철수’를 외칠 수만도 없는 일이다. 이를 방증하듯 유동욱 입주자 대표단 회장(대화연료펌프 대표)은 “경제적 관점에서만 개성공단에 접근해야지 군사적・정치적으로 이용해서는 안 된다”며 “개성공단 기업들은 자생력을 가지고 있고 충분히 잘 크고 있으니 여건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밝혔다.

입주자 대표의 이 같은 발언은 정부의 개성공단 폐쇄 입장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나 정부가 며칠째 개성 공단 방북을 중단시키면서 공장 가동에 필요한 물자공급도 거의 끊긴 상태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부정적인 인식이 퍼지면서 해외고객만이 아니라 국내고객까지 발주선을 중국, 베트남으로 옮기려 하고 있다는 게 입주자 대표단의 하소연이다.

현재 개성공단에 입주한 121개 업체 대부분이 원·부자재를 충분히 비축하지 않고 있다. 아무런 대책 없이 물자공급을 끊어버리면 공장 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시점인 것이다. 분명히 물자공급 중단이 능사는 아닐 것이다. 좀 더 유연하고 합리적인 정책으로 개성공단의 숨통을 틔워주길 바란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