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세곤 역사 칼럼니스트 

 

1590년 2월 28일에 선조는 창덕궁 인정전에서 헌부례(獻俘禮 : 포로를 바치는 의식)를 거행했다. 진도사람 사을화동(沙乙火同)이 왜구의 향도(嚮導)노릇을 해왔는데 조선의 요구로 대마도주 소 요시토시(宗義智)가 잡아왔다. 대마도주는 선조에게 통신사 파견을 요청하면서 공작새 한 쌍과 조총(鳥銃)을 바쳤다. 그런데 선조는 조총을 쳐다보지도 않고 군기시에 보관토록 지시했다.

1543년에 일본 규슈 근처의 종자도에 도착한 포르투갈 상인이 종자도 영주에게 조총을 바쳤다. 이 신무기는 일본 각지로 퍼져 기존의 전투 양상을 바꿨다. 조총의 위력을 실감했던 오다 노부나가는 조총수 양성에 진력했다. 그는 1575년 나가시노 전투에서 조총으로 최강의 기마군단 다케다 가쓰요리를 이겼다. 노부나가는 3교대 연속 사격 전술을 썼다. 조총의 장전 시간이 꽤 걸리는 점을 보완하기 위해 조총수를 3열로 배치시켜 연속 사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오다 노부나가는 1582년에 부하 아케치 미쓰히데의 반역으로 교토 혼노시(本能寺)에서 자결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당시에 원정 중이었는데 노부나가가 자결했다는 소식을 듣자마자 회군해 교토의 야마자키 전투에서 미쓰히데를 토벌했다. 1585년에 히데요시는 관백이 되고 1590년에는 100년간의 전국시대를 종식시키고 일본을 통일했다.

한편 1592년 2월에 선조는 신립과 이일을 파견해 각 도의 병기를 점검토록 했다. 신립은 경기도와 황해도, 이일은 전라도와 충청도로 갔는데 점검이라는 것이 활·화살·창과 칼뿐이고 대포나 화약은 없었다. 그나마 실물 점검이 아닌 장부상 점검이었다.

신립은 1583년 온성부사 때 여진족을 무찌른 장수로 안하무인이었다. 수령들은 신립을 두려워 해 백성들을 동원해 길을 닦고 극진히 접대했다. 대신의 행차도 이만 못했다.

1592년 4월 1일에 신립은 선조께 복명한 뒤 류성룡과 대화했다. 류성룡의『징비록』에 나온다.

류성룡 : “멀지 않아 변고가 생기면 공이 마땅히 그 일을 맡아야 할 텐데 공의 생각으로는 오늘날 적의 형세로 보아 그 방비가 충분하나요?”

신립 :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류성룡: “그렇지 않소. 예전에는 왜적이 창·칼만 믿고 있었지만, 지금은 조총과 같은 우수한 병기가 있으니 가볍게 생각할 일이 아니요”

신립: “비록 조총이 있다고는 하나 그 조총이라는 게 쏠 때마다 사람을 맞힐 수 있겠습니까?”

신립은 안일했다. 더구나 수군을 폐지해야 한다고 선조에게 건의했다. 다행히 이순신이 수군의 중요성을 강력히 주장해 이 논의는 흐지부지됐다.

4월 13일에 임진왜란이 일어났다. 4월 28일에 신립은 충주 탄금대에서 전사했다. 신립은 험준한 요새 조령을 지키지 않고, 기마병이 싸울 수 있는 탄금대에 배수진을 쳤다. 그러나 기마병이 조총으로 단련된 왜군을 이기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날 저녁에 선조는 신립의 패전 소식을 접했다. 4월 30일 새벽에 비는 억수같이 쏟아지는데 선조는 한양을 버리고 도망쳤다. 성난 백성들은 경복궁과 창덕궁에 불을 지르고 장예원의 노비문서를 불태웠다. 5월 3일 왜군은 한양에 무혈 입성했다.

임진왜란은 예고된 전쟁이었다. 여러 번 징후가 보여 대비할 수 있었지만, 선조의 무능과 집권당의 안일, 그리고 장수들의 오만이 조선을 아비규환으로 만들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