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사외이사 출신 비중. (제공: CEO스코어)
신규 사외이사 출신 비중. (제공: CEO스코어)

영풍 등 12곳은 관료 출신 비중이 50% 넘어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국내 대기업 집단의 사외이사 3명 가운데 1명은 관료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CEO스코어에 따르면 상장 계열사가 있는 57개 대기업집단의 계열사(267개) 사외이사 이력을 전수 조사한 결과 총 857명 가운데 관료 출신이 321명(37.4%)으로 가장 많았다.

올해 사외이사 추천자 230명 가운데 관료 출신이 35.7%에 달할 정도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판·검사 등 법조계 출신이 32%로 가장 높았고, 국세청과 관세청 등 세무관료 출신도 15%에 이르렀다.

1년 전(39%)에 비해 비율은 1.6%포인트 낮아졌지만, 여전히 전체의 3분의 1을 훌쩍 넘어선 수치다. 학계 출신이 32.8%(282명)로 그 뒤를 이었고, 재계 17.9%(154명), 언론계 3.1%(27명), 민간 법조계(변호사) 2.9%(25명), 공공기관 2.1%(18명), 정계 0.2%(2명), 기타 0.9%(8명) 등이었다.

올해 정기 주주총회에서 선임됐거나 선임될 신임 사외이사 후보 230명 중에서도 관료 출신 비중이 35.7%(82명)에 달해 가장 많았고, 학계(32.2%, 74명)와 재계(20%, 46명) 출신이 뒤를 이어 비슷한 양상을 이어갔다. 특히 올해 주총에서 신규 선임되는 사외이사 후보 가운데 전임자와 같은 관료 출신이 40명으로, 이른바 ‘회전문 인사’라는 지적도 나왔다.

그룹별로는 영풍의 관료 출신 사외이사 비중이 무려 64.3%에 달해 가장 높았다. 또 DB와 두산, 신세계, 현대백화점, GS, 하림, 롯데, CJ, 유진, 현대중공업, 한진 등 모두 12개 그룹이 계열사 사외이사 절반 이상을 관료 출신으로 꾸린 것으로 조사됐다. 삼성의 경우 전체 59명의 계열사 사외이사 가운데 관료 출신이 24명(40.7%)이었다.

관료 출신이 단 한 명도 없는 대기업 집단은 한국투자금융과 하이트진로, 한국타이어 등 3곳 뿐이었다.

이번 조사는 2019년 주총까지 임기가 만료되는 사외이사는 조사에서 제외했으며 주총 안건으로 올라간 신규 사외이사 후보는 포함했다. 사외이사 주주제안이 있는 기업은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에서 추천한 후보를 유효 인원에 포함시켰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