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괴담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SNS 괴담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무분별 괴담에 SNS는 ‘몸살’
미국 백신 자폐증 연관설에
영유아 미접종률 증가 추세
범죄 수법 등 괴담도 확산
“개인의 합리적 판단 중요”

[천지일보=이수정 인턴기자] 최근 정보통신망의 발달에 따라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이용이 보편화 되고 있다. 이 가운데 SNS 등을 통해 확산하는 ‘괴담’으로 피해를 입는 경우가 적지 않다.

SNS 통해 한번 괴담이 퍼지면 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끼친다. 특히 최근 미국 SNS 상에서 “홍역 백신이 유아 자폐증 발병 확률을 높인다”는 괴담이 돌면서 미국 영유아 백신 미접종률이 증가하는 등 미국 내 ‘백신 공포’가 불기도 했다.

국내도 예외는 아니다. 최근 한 대학에서 에이즈 괴담이 확산해 발칵 뒤집히는 일이 있었다. 전문가들은 무엇보다 개인이 정보를 맹목적으로 받아들이기보다 합리적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앞서 지난해 10월 울산대 SNS에는 한 학생은 “대학교에서 바늘 박힌 고양이 간식을 발견했다”는 글과 사진을 올렸다. 이 게시물에는 2000개가 넘는 댓글이 달리며 교내 학생들을 비롯해 네티즌들의 공분을 샀다. 경찰도 ‘동물 학대’ 의심 사건으로 보고 수사에 착수했지만, 작년 12월 초 증거가 나오지 않아 수사는 종결했다. 지난 1월 이 글의 최초 유포자가 “학교 수업을 위해 시도한 자작극이었다”고 학교 측에 사과하면서 논란은 마무리됐다.

지난해 10월 울산 한 대학의 SNS에 고양이 간식 안에 바늘이 있었다며 올라온 제보글. 해당 사진을 제보한 학생은 지난 10일 SNS를 통해 사진이 조작된 것이었다고 밝혔다. (출처: SNS 이미지 캡처)
지난해 10월 울산 한 대학의 SNS에 고양이 간식 안에 바늘이 있었다며 올라온 제보글. 해당 사진을 제보한 학생은 지난 10일 SNS를 통해 사진이 조작된 것이었다고 밝혔다. (출처: SNS 이미지 캡처)

지난달 28일 충북 충주의 국립 한국교통대학교 인터넷커뮤니티에도 ‘에이즈에 걸렸는데 기숙사 입소가 가능한가’라는 취지의 질문의 게시글이 올라왔다. 게시글에는 에이즈 보유자가 학교 기숙사에 입사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 게시물은 또 다른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에 퍼지면서 급속도로 확산됐다.

문제는 이뿐 아니었다. 대학 기숙사에서는 매일 학생과 학부모들의 수백통의 전화가 빗발쳐 왔다. 결국 대학 측에서 사실확인을 위해 경찰에 수사를 의뢰하는 지경까지 이르렀다. 하지만 이도 그저 개인의 호기심에서 비롯된 해프닝이었다. 단순 해프닝이라는 사실이 밝혀졌음에도 대학 측은 사태를 수습하느라 곤혹을 치렀다.

이 같은 SNS 내 괴담은 비단 우리나라에서 그치지 않는다. 미국에서도 최근 SNS 등을 통해 ‘백신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CNN은 지난달 17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내 만 2세 이하 백신 미접종 비율이 2001년 0.3%, 2011년 0.9%로 무려 3배 더 늘었고 2015년에는 1.3%까지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백신을 불신하는 미국인 숫자가 늘어난 셈이다.

현지 언론들은 이같이 백신 공포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로 백신이 오히려 아이에게 해롭다는 백신 괴담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접종이 자폐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SNS 거짓 정보가 영향을 줬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WHO는 “일부 부유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홍역 증가가 백신에 대한 잘못된 관념에서 비롯됐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더욱이 보이스피싱과 스미싱 등이 기승을 부리기 시작한 이후로는 범죄 수법과 예방법에 대한 괴담이 SNS와 모바일 메신저를 통해 꾸준히 전파되고 있다. 최근에는 특정번호로 걸려 온 전화를 받으면 거액이 곧장 결제된다는 ‘자동결제 괴담’이 또다시 확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가짜뉴스의 무분별한 유포를 완전히 차단하는 게 현실적으로 어려운 만큼 정보를 받아들이는 개인의 냉정한 태도와 제도적 개선이 맞물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운한 선문대학교 언론광고학부 교수는 “구글 같은 해외 거대 미디어 플렛폼들은 미디어물에 대해 규제가 강한 편”이라며 “우리나라도 미디어 내에 자체 규제방안이 있는데 현실은 말뿐인 경우가 많다. 관리나 시스템적으로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가짜 뉴스가 판치는 세상에서 우리 개인부터가 스스로 절제하고, 가짜뉴스는 범죄행위라는 인식이 바로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