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계방향) 쌀로 만든 다양한 제품으로 쌀과자 쌀술, 쌀국수, 떡쌈, 쌀 자장면, 쌀 잔치국수 (일부 사진제공: 우리미단)

쌀 가공산업의 미래
가공용 쌀 안정적 공급과 함께 제조업체 자생력 키워야

[천지일보=장요한 기자] 최근 정부는 새로운 쌀 소비촉진 수요를 찾기 위해 쌀 가공산업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이를 위해 쌀 가공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에 나가려는 등 지난 8월에는 ‘쌀소비촉진가공기술산업화연구사업단’을 발족시켰다. 또한 2012년까지 가공용 쌀 사용 비중을 생산량의 10% 수준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쌀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가 마련 중인 ‘쌀 산업발전 5개년 종합대책’에도 쌀 가공산업 육성방안이 포함돼 있을 정도로 쌀 소비 활성화 방안으로 쌀 가공산업이 중요한지 짐작케 한다.

우리에게 친숙한 쌀먹걸리는 최근 인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 밖에 쌀떡 쌀국수 쌀라면 쌀냉면 등 다양한 제품으로 변신을 시도 중인 쌀 가공식품은 소비자의 선택을 기다리고 있다.

또 지자체에서도 아침대용식(떡) 지원사업이나 쌀 국수 학교급식 도입, 공무원 정례적으로 쌀국수, 쌀 자장면 먹기 등 쌀 소비 및 가공산업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가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쌀 가공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단순히 쌀 재고처리를 위한 단기적인 접근에서 벗어나 새로운 산업분야의 하나로 인식해 육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현유(쌀소비촉진가공기술산업화연구사업단 단장) 박사는 “쌀이 재고량이 많을 때는 지원을 하다가 수요가 부족한 상황으로 바뀌면 기존 지원 정책이 중단되기도 했다”며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투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특히 가공용 쌀 공급에 대한 중장기 대책과 양질의 쌀가루 공급체계가 수립돼야 안정적인 쌀 가공식품의 산업화가 진행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신동화 (식품연구소) 전북대 명예교수는 “현재는 가공용 쌀을 싸게 공급해주고 있지만 쌀 가격이 높아지면 어떻게 할 것이냐”며 “식품가공 공장은 가동돼야 하는데 쌀 공급이 중단되면 공장은 망한다”고 쌀 공급의 안정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한국쌀가공식품협회 조상현 사업홍보팀 차장도 “쌀 가공산업 분야로 접근하려면 가공 원료인 쌀이 안정적으로 공급돼야 한다”며 “정부정책이 일관성 있게 추진돼야 이 분야도 수직 성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조 차장은 또 “시중에 다양한 제품이 나오면서 호기심에 구매했다가도 재구매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이는 쌀 가공산업이 시장성을 보여준다”며 “이 분야는 예전과는 달리 전망이 밝다”고 설명했다.

제조업체들이 쌀 가공식품을 연구개발 할 수 있는 분위기를 정부가 만들어줘야 한다는 입장이다. 실제 정부도 쌀 가공산업 활성화를 위한 대책마련에 나섰다.

최근 정부는 가칭 ‘쌀 가공산업 진흥법’ 제정을 검토, 쌀 가공업체에 대한 지원 및 공공부문 쌀 가공식품 공급에 관한 사항 등을 고려하는 등 쌀 가공식품 및 가공식품 기업에 대한 세제지원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방침이다.

또 농림수산식품부(농식품부)는 쌀 가공 제품 활성화에 속도를 내겠다는 기세다. 먼저 소비확대를 위해서는 떡볶이 막걸리 장류 면류 등 품목별 홍보 전략을 세웠다.

떡볶이의 경우 체인점을 중심으로 쌀·밀 떡볶이 구분표시제의 시행을 확산시키고, 장류는 주요 대기업과 함께 전통식품에 쌀 사용 확산을 유도하겠다는 것이다.

면류는 현재 공공기관부터 쌀 가공제품 이용을 추진하고 있다. 공공기관용 선물세트 제공과 쌀국수 공급 시범사업을 함께 실시하고, 쌀 막걸리 품평회 등을 통해 막걸리 홍보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3년 이상 보관된 정부 보유 쌀은 가공용으로 저렴하게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 중에 있다. 올해까지 계획됐던 가공용 수입쌀의 할인 공급 시범사업은 오는 2012년까지 연장할 것으로 보인다.

할인공급 대상 품목도 쌀면류에서 쌀면류 및 쌀가루 제조용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또 가공용 전용품종 개발 및 계약재배를 통한 고품질 원료 확보에도 나선다.

포장밥용·면류용·다이어트용 등 용도별 가공용 쌀품종 개발을 확대하고, 농협과 가공식품 업체 간 계약재배를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오래 된 쌀은 쌀 종이컵 등 친환경 제품으로 개발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하지만 가공업체들의 자생력을 길러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장인석 농식품가치연구소장은 “정부가 일정기간 안정적으로 보장해줘야겠지만 가공업체 스스로 가공용 쌀도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며 “정부 공급 쌀과 자급자족할 수 있는 쌀과 병행해야 수급이 안정될 것”이라고 당부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