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몸에 딱 좋은 나무] 폐수를 흡수·정화하는 ‘포플러’
 

‘미루나무 꼭대기에 / 조각구름 걸려있네 / 솔바람이 몰고 와서….’

동요 ‘흰 구름’ 가사에도 등장할 만큼 미루나무는 우리 삶에 매우 친숙한 나무였다. 과거에는 동네 어디서나 볼 수 있는 흔한 나무였으나 지금은 옛 마을길 사진에나 등장하는 나무가 됐다.

미루나무는 포플러의 일종으로 우리나라 산림녹화시기에 황폐지 복구용으로 마을 주변, 농로, 하천 주변이나 가로수 등으로 많이 심었다. 포플러는 1990년대 이전가지 나무젓가락, 이쑤시개, 도시락 등의 재료로 사용돼 우리 농촌 경제에 큰 기여를 했다. 그러다 하천변 수목 식재를 억제하는 ‘하천법’ 규제로 하천변에 조성됐던 포플러가 벌채되면서 1997년 이후부터 포플러 조림(造林)이 전면 중단됐다.

그런 포플러의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다. 마을길이나 강변 등에 장관수로서 화력발전소와 가정용 보일러의 연료로 생산되는 팰릿이나 칩을 생산하는 목질계 바이오에너지원의 일종으로, 버섯 종균이나 느타리버섯 등의 배지(培地) 주원료로서 산업적 요구량이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신재생에너지원으로 목질계 바이오매스인 펠릿을 연간 1500톤 전후로 수입하고 있다. 느타리버섯류 배지로도 포플러는 연간 5000톤 이상이 필요한데 이 물량을 충당하려면 연간 500㏊ 이상 조림지에서 벌채, 생산돼야 한다.

현재 우리 산림에는 1750㏊ 정도의 포플러가 조림돼 있는 상태로 앞으로 버섯 배지의 수요량을 충당하기에 턱없이 부족하다. 버섯 배지용 포플러 톱밥 가격은 최근 매년 오르고 있어 중국도 버섯재배면적이 증가하면서 원재료의 가격이 지속 상승할 것으로 예상돼 국내의 포플러 원목 가격도 높아지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쓰임새 많은 포플러의 수요량 충족을 위해 산에서도 잘 자라는 산지형 포플러를 개발할 예정이다.

제공: 국립산림과학원

정리: 이혜림 기자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