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배.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예배.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안덕원 교수, 한국교회 예배 톺아보기 강연

“형식 버리고 창조적 예배 공동체 추구해야”

[천지일보=임혜지 기자] 오늘날 한국 개신교 예배는 각 교회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 개신교 예배 형태가 다양하면서도 ‘획일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 교회가 형식적인 예배와, 무조건적인 모방과 답습을 버리고 신학이 있는 ‘창조적 예배 공동체’를 추구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안덕원 횃불트리니티 신학대학원대학교 실천사학 교수는 18일 서울 용산구 서빙고 온누리교회에서 한국교회의 예배를 톺아본다는 주제로 열린 ‘목회와신학 창간 30주년 기념 세미나’에서 이같이 말했다.

안 교수는 한국교회 예배형태를 리서치하기 위해 지난 2017년부터 2년간 국내 50여 교회를 탐방한 경험이 있다. 그의 탐방기는 개신교 잡지 ‘목회와 신학’에도 연재됐다.

먼저 안 교수는 한국 개신교 예배 형태를 크게 ▲교회의 선택에 따른 부분적 블렌디드(blended) ▲하나의 교회, 다양한 형식 ▲전통과 현대의 조화 ▲서구의 예전과 한국적 전통의 조우 등 네 가지로 분류했다.

블렌디드 예배란 역사, 전통, 문화 지역을 아우르는 유기적이고 통합적인 예배를 말한다. 안 교수는 블렌디드의 정도와 성향에 따라 예배 형태를 구분했다.

그는 “한국 교회는 의식적이건 무의식적이건 다른 전통의 영향을 받아와 다양하긴 하지만, 블렌디드의 적용상의 차이는 현저하다”며 “한국 교회의 경우 몇몇 교단이나 교회들을 제외하면 무난한 예배, 익숙한 예배를 지향하는 곳이 많고 특히 특정교회의 예배를 모방하는 경향이 농후하다”고 말했다. 온누리교회 등과 같은 대형교회의 예배 형식을 환경이 되지 않는 교회라 할지라도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그는 “각 교회마다 환경이 다르다는 것을 염두에 둬야 한다”며 “환경이 좋다 해서 꼭 좋은 예배를 드리는 것은 아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예배란 무엇인가, 우리는 어떤 예배를 드릴 것인가’ 하는 철학”이라고 강조했다.

안 교수는 교회의 선택에 따른 부분적 블렌디드 예배의 사례를 들어 자세히 설명했다. 소망교회 예배는 말씀을 강조하는 종교개혁의 전통 중에서도 칼뱅의 스트라스부르그와 제네바에서 사용했던 예전과 유사성을 갖고 있으면서 여기에 몇 가지 현대적 요소를 첨가했다.

청파교회는 교회력과 감리교 예전에 충실하면서 떼제공동체의 음악을 예배에 수용했다.

다양한 형식을 사용하는 교회들로는 만나교회와 온누리교회, 아현성결교회와 국수교회 등을 꼽았다.

전통과 현대를 온전히 조화시킨 예배를 드리는 곳으로는 예능교회 등이 선정됐다.

그는 사례를 마치며 각각의 교회들에게 모방과 답습을 넘어 신학이 있는 창조적 예배 공동체를 추구할 것을 제언했다. 안 교수는 “앞서 소개한 교회 가운데선 교단의 특성이 잘 드러나지 않는 교회도 상당수”라며 “천편일률적이라는 표현은 다소 과할 수 있겠지만 창조성의 결여는 분명하게 느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예를 들어 찬양 팀을 중심으로 한 구도자 예배의 경우 일정 수준 이상의 규모와 시설이 요구되는데 악기의 수나 공간의 크기 등이 예배의 내용과 조화를 이루지 못한 사례가 많았다”며 “공동체의 형편에 어울리게 디자인하고 진행하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부설 21세기 교회연구소가 지난 2016년 발표한 ‘평신도의 교회 선택과 교회 생활 만족도에 대한 조사연구’에 따르면 총 500명 응답자 가운데 ‘출석 교회를 떠날 생각이 있다’는 응답자는 32.8%(151명)를 차지했다. 떠나고자 하는 이유로는 ‘예배 만족도’가 11.1%로 나타난 바 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교회 건축과 예배 공간 등에 대해서만 평가·제언할 뿐, 평신도들이 궁금해 하는 예배의 내용과 관련된 제언이나 언급은 없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