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김두나 기자] 지난 12일 서울 G20 정상회의가 ‘서울 선언문’을 채택하고 그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서울 정상회의의 성과를 놓고 외신들 사이에서는 왈가왈부 말들이 많다.

15일자 블룸버그 통신은 G20 정상회의는 글로벌 불균형을 차단할 만한 결정적인 방안을 내놓지 못하고 이틀간의 일정을 마쳤다고 평가했다. 반면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같은 날 한국이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 개최를 계기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 경제적 관계를 재정립하는 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렇다면 의장국 한국의 자체 평가는 어떨까. 결론적으로 서울 회의는 성공이었다는 것이다. 이창용 G20 정상회의 준비위원회 기획조정단장은 지난 12일 결산 기자간담회에서 경상수지 가이드라인과 관련해 우리나라가 의장국이 아니었다면 합의가 안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 중국 등 서로 의견이 달랐을 때 한국이 의장국이었다는 게 전 세계적으로 얼마나 다행인지 모른다”며 “중국도 의장국 말은 믿었고 미국 역시 우리를 신뢰했기 때문에 조율이 가능했다. 그렇기 때문에 성공적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고 전했다.

또 일부 외신들이 가이드라인의 구체적인 수치(±4%)가 확정되지 않아 서울 정상회의를 실패했다고 보는 시각도 있지만 그건 각국의 입장 차이라고 반문했다.

이 단장은 “환율 분쟁으로 각국의 의견이 첨예하게 대립한 상황에서 의장국이 할 수 있는 건 전 세계가 합의를 볼 수 있는 프로세스를 만들어주는 역할”이었다며 “G20 정책공조인 세계 경제의 균형 성장을 위해 균형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균형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강조했다”고 언급했다. 이 같은 노력의 결과로 지난 경주 장관회의에서 시장결정적 환율제도와 예시적인 가이드라인 마련에 합의했고 서울 회의에서는 시한 합의와 프로세스 개발을 도출했다는 얘기다.

사실 경주회의가 끝난 지 2주밖에 지나지 않은 상황에서 구체적인 수치 설정은 애초부터 불가능했다. 환율 분쟁으로 핵심 의제들이 가려질 상황에서 의장국 한국은 환율 문제를 글로벌 불균형 해소라는 G20 정책공조의 틀 안으로 끌어 들였다.

환율이라는 제로섬(zero-sum) 게임을 해결하기 위해 경상수지 목표제 도입을 제안했고 예시적인 가이드라인 마련에 첫삽을 뜬 것이다.

이같이 세계 경제 성장을 위해 20개국 정상들을 한데 모은 한국의 현실은 그러나 ‘분단국가’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아직 자국의 영토에 ‘분단’이라는 상처를 안고 있는 나라가 세계 공조의 중요성과 화합, 상생을 주도한 것과 마찬가지니 이도 참 아이러니(Irony)하다.

기자는 지난 13일 천지일보가 주최한 프레스 투어를 다녀왔다. 외신들을 대상으로 한 이번 행사는 관광과 홍보로 가득 찬 일반 프레스 투어와 달리 현충원과 임진각, 비무장지대(DMZ) 등 우리 대한민국의 분단의 현실을 직접 눈으로 볼 수 있는 장소를 택했다.

의장국 한국이 어떤 환경 속에서 이 행사를 개최했는지를 알려주기 위해서였다. 35년간의 식민지배, 동족상잔의 비극을 겪은 최빈국에서 60년 만에 경제 대국으로 우뚝 선 한국의 이면에는 아직도 이념적인 대립이 남아있다는 현실과 이 나라의 국민들이 진정 원하는 것은 ‘남북통일’이며 이는 세계 통일까지도 앞당길 수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서 말이다.

이 투어에 자리를 같이 한 외신들이 얼마나 깨달았는지는 모르겠으나 적어도 서울 정상회의의 성과를 논하기 이전에 그 나라의 역사와 현실, 그리고 국민들의 염원은 저버리지 않았음 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