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접 효과 경제적 수치 환산, 신뢰성 낮아…

[천지일보=김두나 기자] 지난 12일 대단원의 막을 내린 서울 G20 정상회의 개최 효과에 대한 전망은 그간 온통 장밋빛이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숫자놀이에 불과한 경제 효과에 부정적인 시각을 보내고 있다.

G20 정상회의를 성공적으로 개최했을 때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효과는 단연 국가 브랜드가치 향상과 경제적 가치 창출이었다. 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우리나라의 국가 브랜드 가치가 상승하게 되면 세계적으로 코리아 프리미엄이 형성돼 높은 신뢰와 가치를 함께 얻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생산한 제품이 상대적으로 낮은 가치를 받게 되는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아직도 30%에 달한다. 이번 서울 G20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로 우리나라의 국가브랜드 순위도 2~3단계 상승한다는 분석이 대부분이었다.

아울러 그간 분단국가 등 다소 부정적이었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바꾸고 한국의 역사와 전통문화를 세계 언론에 알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로 여겨졌다.

하지만 G20의 경제적 파급 효과를 내놓는 경제연구소들의 수치가 저마다 다르게 나타나면서 이 같은 전망에도 의구심이 들기 시작했다.

G20 정상회의 개최로 발생하는 경제적 효과를 수치로 환산한 연구 결과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쏟아져 나왔다. 지난 9월 삼성경제연구소는 중형 자동차 100만 대를 수출하는 효과와 맞먹는 최대 24조 원을 G20 경제 효과로 추산했으며 한국무역협회는 31조 원의 직·간접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분석했다.

지난 2002년 한·일 월드컵의 국가브랜드 상승효과(7조 원)와 200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의의 경제 효과(6700억 원)를 훨씬 웃도는 수준이다.

그러나 문제는 지난 7일 한국무역협회 대전·충남본부에서 발표한 자료에 있었다. 이 협회는 국제무역연구원의 조사결과를 인용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 이후 G20 정상회의를 통한 국제공조가 한국에 450조 8000억 원의 경제효과를 안겨줬다고 분석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일각에서는 정부의 압력에 못 이겨 부풀리기식 결과를 내놓는 게 아니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지난 9일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한 김상조 한성대 무역학과 교수는 “G20 정상회의의 직접적인 경제 효과는 1000억에서 3000억 정도 밖에 안 된다”며 “국가 브랜드 이미지 상승 등 간접적인 효과를 수치로 계산한다는 것은 경제학적으로 믿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주장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