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남승우 기자] 29일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 병원 장례식장 특1호실에 마련된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 고 김복동 할머니의 빈소에서 시민들이 조문을 하고 있다. 정의기억연대에 따르면 김 할머니는 1년여의 암투병 끝에 28일 오후 10시41분 서울 서대문구 신촌세브란스 병원에서 숨을 거뒀다. 향년 93세. ⓒ천지일보 2019.1.29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29일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 병원 장례식장 특1호실에 마련된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 고 김복동 할머니의 빈소에서 시민들이 조문을 하고 있다. 정의기억연대에 따르면 김 할머니는 1년여의 암투병 끝에 28일 오후 10시41분 서울 서대문구 신촌세브란스 병원에서 숨을 거뒀다. 향년 93세. ⓒ천지일보 2019.1.29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 별세

약자에 대한 사랑, ‘기부’로 실천

“재일조선학교 지원” 유언 남겨

발인은 내달 1일, 천안 망향의동산 안치

[천지일보=임혜지 기자] “이렇게 갑자기 떠나실 줄 몰랐습니다. 가슴이 아파서 눈물만 납니다.”

29일 오전 11시, 김 할머니의 빈소가 마련된 서울 서대문구 신촌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 영정 속 밝게 웃고 있는 김 할머니의 모습은 슬픔을 더했다. 위패 왼쪽으로는 문재인 대통령과 이낙연 국무총리의 조화가 나란히 놓여 있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의 상징과도 같은 김복동 할머니가 지난 28일 밤 투병 끝에 세상을 떠났다. “내가 죽으면 시민장으로 해 달라”는 김 할머니의 바람대로 시민장으로 치러지는 이번 장례식에는 생전 고인과 인연을 맺었던 활동가와 고인을 기억하는 시민의 조문 발길이 이어졌다.

회사 점심시간을 쪼개 조문을 온 김동호(52, 남)씨는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평소 위안부 문제의 해결을 바래왔다. 김 할머니의 별세 소식을 듣고 눈물이 났다”며 “김 할머니는 앞장서서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스스로를 증언하는 등 많은 일을 해오신 분이라 더 안타깝다”고 했다.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29일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 병원 장례식장 특1호실에 마련된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 고 김복동 할머니의 빈소에서 시민들이 조문을 하고 있다. 정의기억연대에 따르면 김 할머니는 1년여의 암투병 끝에 28일 오후 10시41분 서울 서대문구 신촌세브란스 병원에서 숨을 거뒀다. 향년 93세. ⓒ천지일보 2019.1.29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29일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 병원 장례식장 특1호실에 마련된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 고 김복동 할머니의 빈소에서 시민들이 조문을 하고 있다. 정의기억연대에 따르면 김 할머니는 1년여의 암투병 끝에 28일 오후 10시41분 서울 서대문구 신촌세브란스 병원에서 숨을 거뒀다. 향년 93세. ⓒ천지일보 2019.1.29

또 다른 시민 정미경(25, 여)씨는 “이렇게 한 분 한 분 떠나시면 위안부 문제가 묻히지는 않을까 걱정이 된다”며 “이제는 시민이 나서서 위안부 피해 문제에 관심을 갖고 해결에 앞장서야 한다”고 말했다.

위안부 할머니들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 ‘아이 캔 스피크(I can speak)’에 출연한 배우 나문희(78)씨는 이날 오전 11시 30분쯤 빈소를 찾았다. 그는 “너무 고생하셨으니까 이제는 날개 달고 편한 곳, 좋은 곳에 가시기를 바란다”고 애도했다.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29일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 병원 장례식장 특1호실에 마련된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 고 김복동 할머니의 빈소에서 배우 나문희 씨가 조문을 하고 있다. 정의기억연대에 따르면 김 할머니는 1년여의 암투병 끝에 28일 오후 10시41분 서울 서대문구 신촌세브란스 병원에서 숨을 거뒀다. 향년 93세. ⓒ천지일보 2019.1.29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29일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 병원 장례식장 특1호실에 마련된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 고 김복동 할머니의 빈소에서 배우 나문희 씨가 조문을 하고 있다. 정의기억연대에 따르면 김 할머니는 1년여의 암투병 끝에 28일 오후 10시41분 서울 서대문구 신촌세브란스 병원에서 숨을 거뒀다. 향년 93세. ⓒ천지일보 2019.1.29

교복을 입고 조문을 온 학생들도 보였다. 서울 은평구 선정국제관광고에 재학 중인 정윤지(19)양은 “한 분이라도 더 살아계실 때 할머니들의 아픔이 빨리 치유됐으면 좋겠다”며 “우리도 앞으로 더 많은 활동에 참여해 일본의 사죄를 반드시 받아낼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정 학생은 현재 교내 동아리 ‘Girls Remember Girls(GRG)’에서 위안부 할머니들을 위한 모금 활동과 수요 집회 활동을 하고 있다.

‘위안부’ 피해자 길원옥 할머니도 부축을 받으며 김 할머니의 빈소를 찾았다. 두 할머니는 정의기억연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쉼터인 `평화의 우리집’에서 함께 지내며 활동해온 ‘단짝’이다. 길 할머니는 김 할머니의 영정을 앞에 두고 무릎을 꿇고 앉아 마지막 대화를 나눴다.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29일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 병원 장례식장 특1호실에 마련된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 고 김복동 할머니의 빈소에서 길원옥 할머니가 조문을 하고 있다. 정의기억연대에 따르면 김 할머니는 1년여의 암투병 끝에 28일 오후 10시41분 서울 서대문구 신촌세브란스 병원에서 숨을 거뒀다. 향년 93세. ⓒ천지일보 2019.1.29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29일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 병원 장례식장 특1호실에 마련된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 고 김복동 할머니의 빈소에서 길원옥 할머니가 조문을 하고 있다. 정의기억연대에 따르면 김 할머니는 1년여의 암투병 끝에 28일 오후 10시41분 서울 서대문구 신촌세브란스 병원에서 숨을 거뒀다. 향년 93세. ⓒ천지일보 2019.1.29

문재인 대통령도 침통한 표정으로 김 할머니의 빈소에 방문했다. 조문을 마친 문 대통령은 정의연 관계자들을 위로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할머니께서는 피해자로 머물지 않았고 일제 만행에 대한 사죄와 법적 배상을 요구하며 역사 바로잡기에 앞장섰다”며 “살아계신 위안부 피해자 23분을 위해 도리를 다하겠다”고 했다.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29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 병원 장례식장 특실에 마련된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 고 김복동 할머니의 빈소에서 조문을 마친 뒤 정의기억연대 관계자들을 위로하고 있다. ⓒ천지일보 2019.1.29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29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 병원 장례식장 특실에 마련된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 고 김복동 할머니의 빈소에서 조문을 마친 뒤 정의기억연대 관계자들을 위로하고 있다. ⓒ천지일보 2019.1.29

진선미 여성가족부 장관, 더불어민주당 박주민·홍익표 의원, 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 정의당 이정미 대표 등도 정계 인사들도 김 할머니의 빈소를 찾았다. 특히 진 장관은 예정된 모든 일정을 취소하고 빈소에서 조문객을 맞았다.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29일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 병원 장례식장 특1호실에 마련된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 고 김복동 할머니의 빈소에서 진선미 여성가족부 장관이 조문을 하고 있다. 정의기억연대에 따르면 김 할머니는 1년여의 암투병 끝에 28일 오후 10시41분 서울 서대문구 신촌세브란스 병원에서 숨을 거뒀다. 향년 93세. ⓒ천지일보 2019.1.29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29일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 병원 장례식장 특1호실에 마련된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 고 김복동 할머니의 빈소에서 진선미 여성가족부 장관이 조문을 하고 있다. 정의기억연대에 따르면 김 할머니는 1년여의 암투병 끝에 28일 오후 10시41분 서울 서대문구 신촌세브란스 병원에서 숨을 거뒀다. 향년 93세. ⓒ천지일보 2019.1.29

김 할머니는 대장암 판정을 받고 투병해오다 지난 28일 오후 10시 41분 별세했다.

윤미향 정의기억연대 이사장은 김 할머니가 임종 전 남긴 ‘마지막 말씀’을 전했다. 윤 이사장은 “김 할머니는 마지막까지 일본을 향해 절규에 가까울 정도로, 그 어느 때보다도 강한 분노를 표출하셨다”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의 해결과 재일조선학교 아이들을 끝까지 지원해 줄 것을 유언으로 남겼다고 말했다.

경남 양산 출신인 김 할머니는 14살에 일본군에 붙잡혀가 중국, 홍콩,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 일본군의 침략경로를 따라 끌려 다니다 22살에 돌아왔다.

김 할머니는 1992년 1월 ‘정신대 신고전화’가 개통된 지 넉 달 만에, 가족의 반대를 무릅쓰고 피해 사실을 털어놓기로 결심했다. 어렵게 피해 사실을 폭로한 김 할머니는 나라 안팎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 사실을 증언하기 시작했다. 그해 8월 서울에서 열린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를 시작해 이듬해 오스트리아 빈 세계인권대회 등에 나선 김 할머니는 일본의 역사적 만행을 알렸다.

수요집회에 참석해 참가자들에게 손을 흔들고 있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 ⓒ천지일보 DB
수요집회에 참석해 참가자들에게 손을 흔들고 있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 ⓒ천지일보 DB

김 할머니는 어린 나이에 일본군에 끌려가 학교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일본 정부의 지원도 제대로 받지 못하는 재일동포 아이들을 유독 챙겼다. 2016년부터 정부 지원을 받지 못하는 재일조선학교 학생 6명에게 장학금을 지원했고, 지난해 11월에는 병세가 악화돼 신촌 세브란스 병실에 입원한 가운데서도 재일조선학교 학생들의 장학금으로 보내달라며 3000만원을 더 내놓았다. 김 할머니의 마지막 남은 유산은 100만원 남짓으로 전해졌다.

발인식은 다음달 1일에 엄수된다. 김 할머니는 천안 망향의동산에 안치될 예정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