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주요국 가운데 자살률 1위인 한국이 우울증 치료는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출처: 이미지투데이)
 (사진출처: 이미지투데이)

보건사회연구원, 청년층 의식조사 보고서 발표

‘계층상승 할 수 있다’ 4년새 53%→ 38% 감소

“사회 불평등, 경제·사회·문화 격차부터 해소해야”

[천지일보=임혜지 기자] 최근 몇 년 새 사회경제적 지위 상승에 대해 희망을 품는 청년들이 크게 줄었다. 또 청년들은 자신의 계층 상승 가능성을 생각할 때 부모의 학력보다 부모가 물려주는 부의 영향력이 더 크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의 계층 인식에서 부모의 재산에 따라 ‘흙수저’나 ‘금수저’로 분류되는 수저계급론이 심화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9일 보건사회연구원은 보건사회연구 최신호에 실린 ‘청년층의 주관적 계층의식과 계층이동 가능성 영향요인 변화 분석(이용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을 바탕으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를 보면 지난 2013년 통계청 사회조사에 응한 30세 미만 청년 가운데 자신의 계층이동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본 청년은 53%였지만 2017년 조사에서는 38%로 감소했다.

청년의 주관적인 계층(상상·상하·중상·중하·하상·하하) 의식은 대체로 가구소득이 높고, 자가 주택에 거주하고, 아버지의 학력이 높고, 서울에 사는 경우 높았다.

요인 중에서 가구소득의 영향력은 2017년에 크게 높아졌다. 소득 월 700만원 이상인 가구에 속한 청년층은 100만원 미만 청년층보다 계층의식이 한 단계 높아질 가능성이 2013년에 5.14배였으나, 2017년에는 8.22배로 크게 높아졌다.

계층이동 가능성, 일생 노력해 사회경제적 지위를 높일 수 있는 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서도 변화가 나타났다.

2013년에는 가구소득과 거주형태가 ‘나는 계층이동을 할 수 있다’는 인식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고 아버지의 직업과 어머니의 학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2017년에는 부모의 직업이나 학력보다 가구소득이 많고, 자가 주택에 거주하는 경우 계층이동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상승했다.

계층이 한 단계 상승할 가능성에 대한 청년의 인식은 가구소득 100만원 미만인 가구보다 500만∼700만원 가구가 3.15배 높았다. 또 임대주택 거주자보다 자가주택 거주자가 1.27배 높았다.

아울러 2017년 경제 활동에 참여 중인 청년들의 계층 이동 가능성 인식도를 보면 경제활동을 하는 청년들이 안하는 청년들보다 계층 상승 가능성이 오히려 20% 떨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노동시장에 진입한 사람이 진입하지 않은 사람보다 계층 이동 가능성을 낮게 평가한다는 뜻이다.

보고서는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자원이 사회의 계층을 결정한다는 ‘수저계급론’이 실제 나타나고 있고, 계층 고착화가 심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분석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런 현상은 다음 세대의 계층이동에도 영향을 미쳐 사회발전 동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며 “사회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격차를 축소하는 활동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키워드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