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편의점 점포수. (제공: 각사) ⓒ천지일보 2018.12.27
국내 주요 편의점 점포수. (제공: 각사) ⓒ천지일보 2018.12.27

우선협상자 선정 아직도 미정

“환경변화에 매도자 고심 중”

[천지일보=이승연 기자] 11월 중순부터 이어졌던 미니스톱 매각 우선협상자 선정이 계속 미뤄지면서 올해를 넘길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업계는 이미 본입찰이 끝났음에도 발표가 미뤄지는 이유를 놓고 여러 가지 추측을 제기하며 촉각을 세우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0일 진행된 한국 미니스톱 본입찰에는 롯데, 신세계, 글랜우드프라이빗에쿼티(PE)가 참여했다. 매각 대상은 일본 유통기업 이온그룹의 계열사인 일본 미니스톱이 보유한 지분 76.6%, 대상 20% 등 한국미니스톱 지분 100%다. 본입찰에 참여한 3개 업체는 모두 당초 예상됐던 매각가 3000억원을 웃도는 가격을 제시했다. 신세계가 3500억원, 글랜우드PE가 3800억~4000억원, 롯데가 4300억원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롯데가 가장 유력한 최종후보자로 떠올랐다. 하지만 본입찰 한달이 지난 현재까지도 매각 주관사인 노무라증권은 우선협상자를 발표하지 않고 있다. 본입찰 직후 11월 말 전에 결정될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지만 불발됐고 이후 12월 초, 12월 18일 등 구체적인 날짜까지 지목됐지만 모두 추측으로 끝났다. 통상적으로 본입찰 후 우선협상자 선정까지 2주가량 걸리는 것을 고려해도 한참 지연된 상태다.

때문에 업계에서는 협상 과정에서 상당한 진통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본입찰이 치러진 후 업계 상황 달라진 게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인수자 입장에서 보면 그 사이 업황은 더 나빠졌다. 최저임금인상 등의 이슈로 올해 업계 신규점포 출점률이 3분의 1로 줄었는데 내년에도 최저임금인상이 예고돼 있다. 여기에 정부와 점주들의 압박은 더 거세지고 있다. 최저임금 후폭풍으로 인한 본사의 역할론이 커지고 있는 데다 신규 출점은 더 어려워지게 됐다. 지난 4일부터 과밀경쟁을 막기 위해 ‘출점은 신중히, 폐점은 쉽게’ 해주는 자율규약이 시행됐기 때문이다. 점포가 많이 늘어나야 수익이 올라가는 본사 입장에서는 출점은 막히고 폐점할 때는 부담이 더 커지는 ‘사면초가’ 상황에 놓이게 된 것.

특히 롯데의 경우 가장 많은 금액을 써낸 만큼 부담도 크다. 게다가 공정위 허가 문제도 남아있다. 현재 공정위는 공정거래법상 상위 3개 사업자의 매출과 점포의 시장점유율이 75% 이상으로 올라가는 것을 제한하고 있다. 현재도 1~3위 사업자 점유율이 80%를 넘어 선 상태인데 롯데가 미니스톱을 인수하면 세븐일레븐(미니스톱 포함 1만 2081개)에 CU(1만 3109개), GS25(1만 3018개)의 점유율은 90%까지 치솟는다. 때문에 공정위가 허가를 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반면 미니스톱의 입장에서는 신규 출점이 어려워진 환경에서 2500개가 넘는 점포를 단번에 확보할 수 있다는 매력을 앞세워 매각 몸값을 높일 기회가 열린 셈이다. 때문에 미니스톱 측은 본입찰 후 추가 응찰도 진행했다. 추가응찰에서도 롯데가 최고가를 써내면서 이온의 고민도 깊어진 모양새다. 현재 일본에서 롯데와 이온그룹은 경쟁사나 마찬가지다. 때문에 매도자 이온그룹은 양사의 관계에 대한 계산까지 해야 하는 상황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여러 가지 환경적 변수가 생기면서 매도자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때문에 추가응찰까지 진행했지만 이후에도 쉽게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