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화재 초기 진화 (제공: 안산소방서)
주택화재 초기 진화 (제공: 안산소방서)

연평균 2396건 발생… 주거시설 16.3건당 1명 인명피해

[천지일보=박준성 기자] 아파트와 단독주택 등 서울시내 주거시설 화재에 따른 사망자가 5년간 120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서울 전체 화재 사망자의 70% 수준이다.

11일 서울시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3~2017년) 서울에서 발생한 화재사고는 모두 2만 9803건이다.

사망자 171명 중 주거시설 화재로 숨진 사람은 전체의 70.2%인 120명에 달했다. 이 중 단독주택 사망자는 67명(39.2%), 공동주택 사망자는 47명(27.5%)이었다.

같은 기간 주거시설에서 발생한 화재는 1만 1983건으로 전체의 40.2%를 차지했다. 사망자를 포함한 사상자는 전체의 54.9%인 737명(사망 120명, 부상 617명)이었다.

주거시설 화재 16.3건당 1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한 셈인데 이는 전체 화재 평균(22.2건당 1명)보다 1.4배 높은 수치다.

주거시설 화재 10건 중 6건(57.6%, 6897건)은 아파트, 다세대주택 등 공동주택에서 발생했다. 아파트가 3355건으로 가장 많고 다세대주택이 2382건으로 뒤따랐다. 다가구를 포함한 단독주택 화재는 4935건이 발생해 주거시설 화재의 41.2%를 차지했다.

올해 기준으로 보면 주거시설 화재는 지난 10월 말까지 2334건이 발생했다. 전체 화재 발생 수(5372건)의 43.4% 수준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증가율은 9.0%로 전체 화재 증가율(7.6%)을 웃돌았다. 올해 주거시설 화재로 인한 인명 피해는 172명으로 사망 25명, 부상 147명이다.

 

주거시설에 난 불은 탐지 설비 부족으로 커질 때가 많다. 사망자 비율이 높은 단독주택은 소화기나 스프링클러 등 소방 설비가 갖춰지지 않은 일이 많고 자동화재탐지설비 의무 설치 대상도 아니라 더욱 취약하다는 게 소방재난본부의 설명이다.

공동주택은 지난 2015년 1월 개정된 ‘자동화재탐지설비ㆍ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연기 감지기를 둬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은 탐지 속도가 느린 열감지기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시에 따르면 불꽃이 나는 화재는 열감지기 감지 속도가 연기감지기보다 2분가량 늦다. 불꽃 없이 타는 훈소 화재는 아예 감지하지 못하는 일이 많다. 지난 7월 3명 사상자를 낸 송파구 아파트 화재도 열감지기가 있었지만 초기 훈소 화재를 감지하지 못해 대응이 늦어졌다.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주거시설 화재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주택용소방시설을 설치해야 한다. 홀몸 노인 등 화재피난 약자에 대한 안전시스템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겨울철 전기장판 등 전열기기 사용실태 점검, 위기상황판단능력 향상을 위한 집중교육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문호 서울소방재난본부장은 “주거시설 화재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거주자의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며 “화재에 대비해 올바른 피난 방법을 익히고, 화재를 조기에 감지할 수 있는 주택용 소방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