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강은영 기자]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7일 경기 파주시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2018남북정상회담에 앞서 북한산 그림을 배경으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공동사진기자단) ⓒ천지일보 2018.4.27
[천지일보=강은영 기자]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7일 경기 파주시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2018남북정상회담에 앞서 북한산 그림을 배경으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공동사진기자단) ⓒ천지일보 2018.4.27

올해 한 달도 안 남았는데… 청와대 일부서도 ‘답답’

김정일 사망 7주기인 17일 이후 ‘18~20일’ 가능성도

‘13일 유력’ 보도에 청와대 “사실 아니다” 즉각 부인

[천지일보=이민환 기자] 올해가 한 달도 안 남은 상황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연내 서울 답방에 대해 어떤 결단을 내릴지 주목받고 있다. 청와대는 답방 시기와 관련해 언급을 자제하면서도 연내 답방 가능성을 열어두고 최선을 다하는 모양새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8일 “지금까지 북측으로부터 어떠한 통보를 받은 바 없다”면서도 “우리는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 다양한 시나리오를 가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의 답방에 대해 북측이 입장을 전했을 때를 대비해 만반의 준비를 하는 모습이다.

청와대와 정부는 김 위원장 답방과 관련, 문재인 대통령이 가능성을 거론한 한라산 방문뿐만 아니라 국회 연설 추진 가능성 등도 저울질하며 검토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연내 답방이 성사되면 정상회담 의제 설정 등을 위한 고위급회담, 경호·보도·의전 등을 논의하는 실무회담, 사전 답사 등이 이뤄져야 하기에 정부 입장에선 답변만 오길 기다릴 수는 없기 때문이다.

청와대 의사와는 무관하게 이외에도 정부가 연내 개최를 목표로 하고 있는 남북철도나 도로 착공식 참석, 서울타워 방문, 삼성전자 공장 견학 등도 가능성을 열어놓고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북측의 확답은 없는 상태다. 올해가 얼마 남지 않은 만큼 청와대의 부담감도 점점 더 커지고 있다는 관측이다. ‘연내 답방’이라는 9월 평양공동선언의 합의 이행에 남은 시간이 별로 없기 때문이다.

임종석 비서실장이 “북쪽과 전화가 되면 이렇게 답답하진 않을 것”이라고 말한 부분도 청와대가 어떤 감정인지 대략 짐작케 하는 점이다.

북측의 연락은 잠잠하지만 김 위원장의 구체적인 답방 시기를 놓고 갖가지 설이 흘러나오는 것도 청와대로선 부담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번 주말을 거쳐 김 위원장 답방 그림이 윤곽이 나올 것이라는 전망도 있고, 18일부터 2박 3일 정도 방문할 확률도 높다고 보는 여론도 존재한다.

18~20일은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7주기인 17일 이후라는 점에서 김 위원장 답방 날짜로 유력하게 점쳐지고 있다.

아울러 이날 한 언론은 ‘김 위원장의 답방이 13일로 가닥이 잡혔다’고 보도했지만, 청와대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곧바로 부인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