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및 이점 (제공: 국립한글박물관) ⓒ천지일보 2018.11.30
원문 및 이점 (제공: 국립한글박물관) ⓒ천지일보 2018.11.30

[천지일보=장수경 기자] 국립한글박물관(관장 박영국)이 30일에 각필구결 초조대장경 ‘유가사지론’ 권66을 발간한다고 밝혔다. 

이 책은 초조대장경 유가사지론 권66 (11세기 불교문헌)에 기입된 옛 문자 각필구결(刻筆口訣)을 해독한 것이다.

각필구결(또는 점토구결)은 한문을 우리말로 정확하게 읽기 위해 한자 사이에 토(吐)를 단 것이다. 종이 위에 뾰족한 필기도구(각필)로 점이나 선 등을 자국 내어 우리말의 조사나 어미를 표현했다.

붓으로 적지 않고 각필로 새긴 이유는 귀한 경전을 되도록 훼손하지 않기 위해서다. 이 때문에 각필구결은 육안으로는 잘 보이지 않고, 종이에 특수한 조명을 비스듬히 비출 때 비로소 움푹 패인 점과 선 자국이 드러난다. 각필구결은 눈에 잘 띄지 않게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좀처럼 발견되지 않다가 2000년 7월 성암고서박물관에 소장된 초조대장경 ‘유가사지론’ 권8에서 처음 발견됐다.

이후 국내 각필구결 자료 십여 점이 발견됐는데, 그 중 미공개 신자료인 초조대장경 ‘유가사지론’ 권66을 이번에 발간되는 자료집을 통해 소개한다.

국립한글박물관은 “각필구결은 우리말의 조사나 어미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이를 따라 읽다 보면 한문을 한국어로 풀어 읽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각필구결에는 천 년 전 언어가 담겨있어서 향찰, 이두 등으로만 연구되던 한글 창제 이전 국어 연구에 다양한 언어 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고려시대 한국어의 구체적인 사용 양상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고 설명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