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1446’ 스틸. (제공: HJ컬쳐)
뮤지컬 ‘1446’ 스틸. (제공: HJ컬쳐)

 

세종대왕, 태종의 꼭두각시 왕에서 위대한 성군되기까지

업적보다 인간적인 모습 촛점… 입체적 캐릭터들 인상적

[천지일보=이혜림 기자] 어질고 덕이 뛰어난 임금이라는 뜻의 성군(聖君)과 위대한 업적을 남긴 왕이라는 의미의 ‘대왕(大王)’이라는 호칭이 부족하지 않은 인물이 있다. 이미 당대에 ‘해동요순(海東堯舜)’이라고 불렸던 세종대왕이다. 애민정신을 근본으로 이상적인 정치를 실현하고자 했던 세종대왕은 훈민정음과 측우기, 국악기, 혼천의 등을 만드는 혁혁한 업적을 남겼다. 잘 안다고 생각했지만 제대로 알지 못했던 세종대왕의 위대한 업적에 가려진 인간 이도(李祹)의 갈등과 고뇌가 있었다.

뮤지컬 ‘1446’은 수많은 업적보다는 왕이 될 수 없었던 꼭두각시 왕에서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성군으로 거듭나기까지 과정의 인간 ‘세종대왕’에 대해 섬세하게 그려낸다. 극은 태종의 이야기부터 시작된다. 1418년 ‘태종’은 방탕한 생활을 일삼는 세자 ‘양녕’을 폐하고 어질고 총명한 ‘충령’을 세자 자리에 올린다. 게다가 태종은 세자교육을 받지 않은 충령에게 선위까지 해버린다. 어리둥절한 사이에 왕이 된 충령의 뒤에서 태종은 “조선을 위한다”며 대신들을 조정하며 정치의 끈을 놓지 않는다.

뮤지컬 ‘1446’ 스틸. (제공: HJ컬쳐)
뮤지컬 ‘1446’ 스틸. (제공: HJ컬쳐)

 

평소 외척세력이 커지는 것을 경계했던 태종의 눈에 충령의 장인인 ‘심온’을 따르는 무리가 늘어나는 것이 포착된다. 이에 심온은 조작된 사건에 연루돼 죽임을 당한다. 자신의 무능으로 인해 장인이 억울하게 죽게 됐다고 자책하는 충령은 아내마저 죄인의 딸이라며 내쳐질 위기에 처하자 용단을 내린다.

이 작품은 세종대왕의 업적을 비추는 흔한 이야기가 아니다. 강력한 왕권과 조선을 위해 뿌린 수많은 피의 용상을 물려받은 세종이 그 앞에 놓인 선택의 갈림길에서 어떤 선택을 왜 했는지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펼쳐진다. 세종대왕 즉위 600주년을 맞은 올해 세종대왕을 인간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며 피로 일군 조선 초기, 세종대왕이 펼친 애민정신을 통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진정한 리더의 의미에 관해 묻는다.

1막에선 충녕이 왕위에 오르기까지, 2막에선 왕위에 오른 세종대왕이 태종의 꼭두각시에서 어엿한 왕으로 자리 잡기까지의 과정을 그린다. 충녕은 왕위에 오르기 전부터 밤낮으로 공부하며 백성과 나라를 위한 길에 대한 답을 찾는다. 이후 세자가 되고, 왕위에 오른 세종대왕은 근심하고, 연구한다.

하지만 그를 둘러싼 인물들은 세종대왕을 가만두지 않는다. 몸이 아플 정도로 고민과 갈등을 거듭하는 세종대왕을 보고 있으면 눈물이 날 지경이다. 그러면서 세종대왕은 관객에게 ‘이것이 왕의 길인가?’라는 질문을 끊임없이 던진다. 관객은 이미 결론을 알고 있음에도 진정한 ‘왕의 길’에 대해 고민하게 된다. 이 같은 세종의 무게감은 빨간색 천으로 표현됐다. 빨간색 천은 압박감을 표현하듯 세종대왕의 목을 조른다.

뮤지컬 ‘1446’ 스틸. (제공: HJ컬쳐)
뮤지컬 ‘1446’ 스틸. (제공: HJ컬쳐)

 

작품은 세종대왕이 우리와 다르지 않은 인간이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고증보다 드라마에 치중했다. 장인인 심온이 태종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거나 사랑하는 소헌왕후가 세종대왕의 마지막을 함께 했다는 내용 등이 그렇다. 고증에서 심온은 스스로 목숨을 끊었으며, 소헌왕후는 세종대왕보다 먼저 숨을 거뒀다.

이번 작품에서 특히 눈에 띄는 건 장지문을 이용한 무대다. 배경은 무대 양옆 2층 난간과 어좌(御座) 등이 전부인데 이 안에서 8개의 장지문이 장면마다 무대로 밀려 나오며 다양한 공간을 연출한다. 장지는 크게 원을 그리며 우측으로 이동했다가 다시 좌측으로 이동하며 세종대왕의 공간을 만들거나, 대신들이 뒤에 숨어 갑자기 등장하는 등 긴장감을 조성하기도 한다.

역사극 하면 빼놓을 수 없는 화려하고 정교한 액션과 군무도 관건이다. 20명의 배우는 무대 위에서 장검을 휘두르고, 텀블링을 하는 등 무대 위를 날아다닌다. 웅장한 드럼 소리에 맞춰 선보이는 액션 연기는 관객이 한눈팔 수 없게 만든다. 세종을 곁에서 보필하지만 속에는 흑심을 품은 신하 ‘전해운’은 칼을 거칠게 다르며 고음의 넘버를 소화해 박수를 불러일으킨다.

뮤지컬 ‘1446’ 스틸. (제공: HJ컬쳐)
뮤지컬 ‘1446’ 스틸. (제공: HJ컬쳐)

 

배우들의 호연은 최고다. 기자가 본 이날 세종대왕 역은 박유덕이 맡았다. 박유덕은 세종대왕의 나이에 따라 목소리와 창법을 바꿔 감탄을 자아낸다. 양녕대군과 장영실 역을 맡은 황민수도 1인 2역이라고 생각하지 못할 정도로 다른 모습을 연기한다. 주인공 이외에 태종과 소헌왕후, 전해운, 장영실, 양녕대군 등 많은 캐릭터가 입체적으로 살아 있어 인상적이다.

뮤지컬 ‘1446’은 작품의 의미, 배우들의 연기 외에 세종대왕의 일생을 보며 자신을 돌아보게 한다. 공연장의 빈자리가 무색할 정도다. 공연은 오는 2일까지.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