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김종철 기자] 제4회 세계한인의 날(10월 5일) 전후로 정부기관 및 지자체에서는 재외동포들을 위한 다양한 행사를 열었다. 하지만 재외동포들을 위한 관심을 가지다 보니 해결해야 할 과제들도 함께 드러나고 있다.

황유복(중앙민족대) 교수는 재외동포정책 세미나에서 해외에 거주하는 한인들을 ‘재외동포’라고 막연히 부를 것이 아니라 ‘재외국민’ ‘교포’ ‘재외동포’로 구분해 각각에 맞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황 교수는 다른 나라에 한시적으로 거주하는 한국인은 ‘재외국민’ 거주국에서 영주권을 취득한 경우는 ‘재외교포’ 한국 국적을 포기하고 거주국의 시민권을 취득한 경우는 ‘재외동포’라고 불러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2012년 국회의원 총선 비례대표 투표부터 재외국민과 교포에게 참정권을 부여했기 때문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11월 14~15일 실시되는 모의 재외국민선거 신청자가 1만 161명이라고 발표했다. 

해외에 있는 한인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증거이다. 정치계에서는 이미 해외 거주 한인 유권자의 거주지를 자주 방문하며 총선과 대선을 준비하고 있다. 최근 몇 차례 대선의 표차가 40~50만이었던 사실을 고려하면 200여만 명의 해외 한인 유권자는 승부처가 될 수도 있다.

아직까지 투표 신청방법, 투표장과의 거리 등의 난제들이 남아 있지만 해결 못 할 과제는 아니다.

그러나 우려가 되는 것은 해외 한인사회가 참정권으로 인해 분열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미 LA한인회는 회장이 2명이며, US한나라당포럼도 갈등이 생기고 있다.

재외동포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한 민족으로서 공감대를 형성시켜 주기 위해 세계한인의 날 제정과 참정권 등 노력은 하고 있지만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들의 환경과 상황에 맞는 단계적인 정책이 필요한 시기이다.

한 명의 유권자로만 인식하지 말아야 하며 한국인으로서 자부심을 가지고 한국문화를 공유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마련도 필요하다.

또한 2세대, 3세대들이 한국어를 배울 수 있도록 교육정책에 신경을 써야 하며 거주국의 시민권을 취득한 동포들에게도 적절한 정책을 가지고 접근해 700여만 명의 재외동포들이 우수한 한국문화를 알릴 수 있도록 도와야겠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