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출처: 게티이미지 뱅크)
병원. (출처: 게티이미지 뱅크)

[천지일보=이예진 기자]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 근처에 사는 환자보다 중소병원만 있는 지역에 거주하는 환자의 사망률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우리나라는 병상 수에서 최고 수준이지만 배치가 부적절해 사망률을 낮추는 효과는 얻지 못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11~2016년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전국 56개 의료생활권 간 의료이용 양상을 비교 분석한 ‘건강보험 의료이용지도 구축 연구’ 중간 결과를 31일 밝혔다.

2016년 기준 우리나라 인구 1000명당 급성기 병상 수는 6.2개로 OECD 평균 3.3개보다 약 2배 많았다. 급성기 병상은 일반적인 병·의원의 병상으로 요양·재활·특수·정신·한방·치과 병상은 제외된 것이다.

OECD 회원국은 300병상 이상 의료기관이 전체 병상의 평균 50%를 넘었지만, 우리나라는 300병상 미만 중소병원 병상이 전체의 69% 차지했다. 이중 100병상 미만 병원은 38%였다. 일본은 22%, 미국은 14% 수준이었다.

이처럼 중소병원에 급성기 병상이 집중된 현상은 사망비율에도 영향을 미쳤다.

급성기 병상 100%를 300병상 미만 의료기관에 의존하는 이천·여주는 환자의 중증도를 보정한 사망비가 1.7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반면 급성기 병상의 63%를 300병상 종합병원이 공급하는 강릉·평창은 0.8로 전국에서 사망비가 가장 낮았다. 강릉과 평창에는 700병상급의 지역거점 의료기관도 있었다.

우리나라 평균 사망비는 1로, 전국 17개 시·도의 사망비는 경북이 1.19로 가장 높았고 대전은 0.96으로 가장 낮았다.

공단은 이번 연구에서 3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 병상이 인구 1000명당 1개 증가하면 사망비가 9% 줄어드는 것으로 전망했다. 중소병원에 집중된 급성기 병상 배치를 OECD 평균 수준으로 재배치하면 입원비가 23% 줄고, 진료비는 9.2%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김윤 서울대 의대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단순히 병상을 늘리는 게 능사가 아니라 전국 진료권별로 병상을 배분하는 병상총량제 도입이 필요하다는 게 입증됐다”면서 “지역별로 균등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수가 조정 등을 통해 중소병원의 역할을 새롭게 정립하고 권역별 응급의료센터 확충에 주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