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폐사지 현지 자문회의 실시 모습 (사진제공: 문화재청)

각 폐사지 성격 밝히면 역사 고증으로 연결

[천지일보=김지윤 기자] 우리나라 역사를 이해하는 데 절터, 곧 사지(寺址)가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사지의 보존관리 메뉴얼이 수립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6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문화재청(청장 이건무)과 불교문화재연구소(이사장 자승스님)가 주최한 ‘폐사지 보존·정비 관리방안 연구’ 학술세미나에서 박상준 불교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실장이 이 같이 말했다.

세미나에서 ‘사지 보존관리 현황’이란 주제로 발표한 한욱빈 불교문화재연구소 선임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불교건축은 불교가 국교로 전성기를 누렸던 고려시대에도 일정한 양식이 없었고 다양한 형식을 자랑했다. 하지만 조선시대에 들어서면서 많은 수의 사찰이 폐사되고 사찰 내에 있던 수많은 유물이 관가나 민가로 반출·재활용되는 사례가 빈번했다.

현재까지 조사된 사지는 3217개소 중 비지정 폐사지는 3115개소에 이를 정도로 많은 사찰이 폐사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부분이 일제강점기에 발굴 조사된 일부 절터로 자료가 충분치 않는 등 실상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김철주 문화재청 전문위원은 “폐사지의 성격을 밝히기 위해서는 현재보다 더 체계적인 조사가 시급하며 폭우·토사붕괴 등과 같은 자연적 요인과 경작 등과 같은 인위적인 요인에 훼손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사지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장 먼저 보존·정비 매뉴얼을 수립해야 하는데 이때 각 사지마다 지니고 있는 특성을 파악해야 하고 체계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에 대한 검토·분석·사례연구 등 복합적 검토과정이 뒤따라야 한다.

박 학예연구실장의 말에 따르면 사지는 유적이 토지와 일체를 이루고 지상과 지하에 유구와 유물이 있다는 점, 다양한 입지환경 등을 비춰볼 때 다른 문화재와 구분된다. 특히 지상과 지하에 유형문화재를 포함하고 있어 ‘복합문화재’라고 볼 수 있다.

그는 “복합문화재인 만큼 보존·정비 방법 또한 세분화돼야 한다”며 ▲보존과 활용의 조화·보안 필요 ▲공개와 정보전달이라는 정비 목적에 충실 ▲지정을 통한 관리범위로 편입을 적극적으로 추진 ▲보존정비 대상 선별 등으로 보존·정비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