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 (출처: 게티이미지)
행복. (출처: 게티이미지)

[천지일보=이예진 기자] 한국인의 행복지수를 조사한 결과 30대가 가장 행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20대는 미래 안정성에서 가장 점수가 낮았다.

17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행복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한국인의 행복지수 평균점수가 6.329점이었다. 이 통계는 지난해 12월 전국 20세 이상 1000명에게 삶의 가치·목표 등 7개 영역에 대해 조사한 결과다.

가장 행복을 느끼는 연령대는 30대로 6.56점이었다. 주관적 행복도(6.96점)와 삶의 만족도(6.72점), 미래 안정성(5.96점) 등 수치에서 1위였다.

반면 60대는 행복지수 6.05점으로 가장 낮았다. 이들은 주관적 행복(6.11점)과 삶의 만족(6.02점)에서 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20대(평균지수 6.36점)는 다른 부분에서는 점수가 높았지만 미래 안정성 부분에서 5.44점으로 나타나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드러났다. 이는 최근 높은 실업률과 불안정한 현실로 인한 결과라는 전문가의 의견이 있었다.

가구 규모별로는 가수원 수가 적을수록 행복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인가구의 경우 6.45점인 반면 1인가구는 5.84점으로 낮았다. 3인가구가 6.36점, 2인가구가 6.27점인 것에 비해서도 현저히 낮은 점수였다.

최종학력에서는 대졸인 사람의 평균 행복지수 점수는 6.57점으로 중졸 이하(5.63점) 보다 높았다. 종교의 유무에서는 무교인 사람보다 종교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행복지수가 더 높았다.

소득별 행복점수에서는 월 소득 100만원 미만인 사람보다 고소득인 사람이 더 높게 나타났다. 월 100만원 미만 소득자의 경우 행복지수(4.98점), 주관적 행복도(5.54점), 삶의 만족도(4.58점) 등 대부분의 항목이 4~5점대였다. 100~199만원 소득자도 5점대가 대부분이었다.

1000만원 이상의 고소득자는 미래 안정성을 빼고 나머지 항목에서는 7점대였다.

이러한 통계를 바탕으로 연구진은 ‘행복빈곤’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중위 행복도(6.46점)의 50%, 60%, 75% 미만인 사람을 추린 것으로 전체 행복빈곤율은 3.7~16.5%로 추산됐다. 자신을 저소득이라고 생각한 사람 가운데 행복빈곤율은 17.1~47.9%로 전체 평균보다 행복빈곤에 빠질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