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남승우 기자] 비가 그친 뒤 맑은 날씨를 보인 3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에서 바라본 하늘이 맑고 파랗다. ⓒ천지일보 2018.8.31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비가 그친 뒤 맑은 날씨를 보인 3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에서 바라본 하늘이 맑고 파랗다. ⓒ천지일보 2018.8.31

인터넷 기업, 뉴스 서비스 소비자인식조사 결과

[천지일보=정다준 기자] 국민이 인터넷 기업의 뉴스 배열 ‘편향성’에 대해 우려를 나타내면서도 뉴스 편집이 배제된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통한 맞춤형 뉴스’ 보다 ‘동일한 뉴스 제공’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성수 의원은 녹색소비자연대와 함께 지난달 21~27일 총 7일간 ‘인터넷 뉴스 서비스 관련 소비자 인식조사’를 실시해 미디어오늘과 함께 분석한 결과 응답자 10명 중 2명만이 AI가 골라주는 '맞춤형 뉴스'를 원하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11일 밝혔다.

인터넷 기업의 뉴스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인식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뉴스를 개인 선호에 따른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것과 모두에게 동일한 뉴스를 제공하는 것 중 어느 것이 낫다고 생각하는 지를 묻는 질문에 59.6%가 ‘모두에게 동일한 뉴스 제공’을 선택했다. ‘개인선호에 따른 맞춤형 제공’을 선호하는 응답은 17.7%에 불과했으며 ‘둘 다 상관없다’는 응답은 22.7%였다.

반면 인터넷 기업이 직접 뉴스를 필터링하면 뉴스 배열이 편향될 수 있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이 같은 질문에 17.9%가 ‘매우 그렇다’라고 응답했으며 ‘그렇다’도 50.2%로 68.1%가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그렇지 않다’가 19.4%, ‘매우 그렇지 않다’ 2.3%, ‘잘 모르겠다’ 10.2%로 나타났다.

또 인터넷 기업이 뉴스를 배열하는 방법과 원칙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66.2%가 ‘그렇지 않다’고 응답했으며 ‘그렇다’는 응답은 23.2%에 그쳤다. 이들 기업이 뉴스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뉴스 매체와 동일한 규제를 받아야 한다는 응답이 79.1%로 인터넷 기업을 통해 허위정보로 의심되는 뉴스를 접한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43.7%로 나타났고 이어 ‘잘 모르겠다’(35.8%), ‘그렇지 않다’(20.5%) 순으로 나타났다. 가짜뉴스(허위정보)가 인터넷 기업을 통해 유통되었다면 그 책임이 언론사(제작자)에게 있다는 응답이 52.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인터넷 기업 33.9%, 이용자 9.4%, 정부 4.4%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리 국민 10명 중 7명은 네이버·구글 등 인터넷 기업의 가짜뉴스 확산 방지를 위한 노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허위정보 확산을 막기 위한 노력이 충분하지 않다는 응답이 69.4%에 달한 반면, 노력하고 있다는 응답은 18.6%에 불과했고, 모르겠다는 응답은 12%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네이버·구글 등 인터넷 기업이 서비스를 개선함에 있어 정치적 이슈에 휘둘리기보다 이용자의 선호와 편익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면서 “뉴스 서비스에 대한 국민적 불신을 해소하기 위해 인터넷 기업이 갖는 사회적 역할에 대해 더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