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의 시선이 미국 뉴욕의 유엔 총회장에 집중되고 있다. 지난달 18일(현지시간)에 개막된 제73차 유엔총회는 196개 회원국 주요 인사들이 참석해 의제에 대한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정상급 인사들이 대거 참가해 기조연설을 하는 일반토의(General Debate)에서는 지속가능한 개발, 국제평화·안보 등 9개 분야 175개 의제가 선정됐지만 그 가운데 북핵 관련 내용이 주 의제를 이루고 있다. 이는 한반도 정세가 국제평화와 직결되는 사안임을 유엔 총회에 참석한 지도자나 국제사회가 인식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유엔총회가 개최되기 전 제1차 북미회담 후속 조치의 진척이 더뎠고 북·미 양국의 협력 관계가 다소 느슨해지지 않나 걱정되던 판에 문재인 대통령은 제3차 남북정상회담 결과에서 얻어진 북측의 핵폐기 확신을 갖고 유엔 총회에 참석해 전략적으로 외교활동을 펼쳤다. 문 대통령은 일반토의 기조연설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비핵화 결단에 대해 국제사회가 화답할 차례라고 말하면서 비핵화 조치 실행과 함께 종전선언 기대를 표명했고, 트럼프 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에게 한반도 비핵화 실현을 위한 강력한 의지를 가져달라는 메시지를 띄웠다.

한반도 비핵화 문제와 관련된 당사자국으로서 한국의 입지가 자칫 좁아질 뻔 했으나 문 대통령은 제3차 남북정상회담, 유엔총회 기조연설 및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동을 통해 북미 간 관계 개선을 위한 중재자로서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친 것이다. 그 영향력으로 제2차 북미회담이 다시 열릴 예정이고,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북한을 방문해 사전 협의를 할 테지만 미국의 입장은 북한이 최종적으로 비핵화 이행을 할 때까지는 대북제재를 이어갈 뜻을 고수하고 있다.

그러한 상황에서 북한 리용호 외무상은 지난달 29일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밝힌 “비핵화를 실현하는 우리 공화국 의지는 확고부동하지만, 이것은 미국이 우리로 하여금 충분한 신뢰감을 가지게 할 때만 실현 가능하다”는 말은 신뢰가 우선임을 강조한 것이다. 이번 유엔 총회에서 북핵 폐기가 주요 이슈가 된 가운데, 2차 북미정상회담의 연결 고리로서 문 대통령의 활동성과는 크다. 그 노력에 힘입어 미국과 북한이 상대방 선(先)조치 주장에 앞서 신뢰를 바탕으로 비핵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문 정부는 중재자 역할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